귀촌인 과반이 40세 미만, 70%가 1인 가구…40세 미만·여성 귀농인↑
작년 귀농·귀촌인이 처음으로 5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오늘(28일) 공동 발표한 '2017년 기준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인 및 가구원은 51만6천817명으로 해당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처음으로 5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귀촌인은 동 지역에 1년 이상 거주하다 읍·면 지역으로 이동한 사람 중 학생, 군인, 직장 근무지 이동으로 인한 일시적 이주자 등을 제외한 사람입니다.
귀농인은 같은 이주자 중 실제 농축산업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명부에 등록한 사람을, 귀어인은 같은 이주자 중 어업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명부에 등록한 사람을 말합니다.
귀촌인은 49만7천187명으로 전년보다 2만1천698명, 4.6% 증가했으며, 귀촌가구는 33만4천129가구로 전년보다 1만1천621가구, 3.6% 증가했습니다.
귀촌인 평균연령은 40.5세였으며 40세 미만이 51.0%로 과반을 차지했습니다.
가구주 기준으로도 평균연령 44.7세에, 30대 25.9%, 40대 19.3%, 50대 18.8%, 20대 이하 18.0% 등으로 30대 이하가 40~50대보다 많았습니다.
귀촌가구의 69.5%는 1인 가구였습니다.
시도별 귀촌가구는 경기(8만9천551가구)로 가장 많았고, 경남(4만1천906가구), 경북(3만6천812가구) 등 순이었습니다.
이들의 귀촌 전 거주지역은 경기(12만389명)가 가장 많았고, 서울(7만402명), 경남(4만2천156명) 등이었습니다.
귀농인은 1만2천763명으로 전년보다 256명, 2.0% 감소했으며, 귀농가구 역시 1만2천630가구로 전년보다 245가구, 1.9% 감소했습니다.
귀농인과 귀농가구가 줄어든 것은 2013년 이후 이번이 처음입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은 타 산업 경기 및 고용지표가 개선되면 반대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며 "지난해 고용률이 전년보다 소폭 높아지고 2015~2016년 귀농이 많이 늘어나면서 귀농 증가여력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시도별 귀농가구는 경북(2천316가구)이 가장 많았고, 전남(1천925가구), 경남(1천668가구)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주 성별은 남자가 67.1%, 평균 연령은 54.3세였으며, 연령별로는 50~60대가 전체의 66.0%를 차지했습니다.
40세 미만 가구주 비중은 2015년 9.6%에서 지난해 10.5%까지 꾸준히 높아졌으며, 여성가구주 비중도 2015년 30.6%에서 지난해 32.9%까지 높아졌습니다.
귀농가구의 65.2%는 1인 가구였습니다.
귀농인 중 농업에만 종사하는 전업 귀농인은 9천194명으로 전체의 72.0%였으며, 겸업 귀농인은 3천569명, 28.0%였습니다.
귀어인은 991명으로 전년보다 14명, 1.4% 감소했으며, 귀어가구는 906가구로 전년보다 23가구, 2.5% 줄었습니다.
가구주 평균연령은 50.1세였으며, 40~50대가 58.3%를 차지했습니다.
1인 가구가 전체의 68.8%였습니다.
귀어인의 92.7%는 어로어업에 종사했으며, 내수면 어업은 4.4%, 양식어업은 2.8%로 집계됐습니다.
한편, 정부는 귀농창업 및 주택자금 지원규모를 지난해 2천500억 원에서 올해 3천억 원 규모로 확대하는 등 귀농·귀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귀촌 희망인을 대상으로 농산업 창업교육 도입을 추진하고 관련법 개정을 통해 귀농·귀촌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귀농·귀촌 실태조사 주기도 5년에서 1년으로 단축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작년 귀농·귀촌인이 처음으로 5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통계청과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가 오늘(28일) 공동 발표한 '2017년 기준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귀농·귀촌인 및 가구원은 51만6천817명으로 해당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3년 이후 처음으로 5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귀촌인은 동 지역에 1년 이상 거주하다 읍·면 지역으로 이동한 사람 중 학생, 군인, 직장 근무지 이동으로 인한 일시적 이주자 등을 제외한 사람입니다.
귀농인은 같은 이주자 중 실제 농축산업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명부에 등록한 사람을, 귀어인은 같은 이주자 중 어업인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명부에 등록한 사람을 말합니다.
귀촌인은 49만7천187명으로 전년보다 2만1천698명, 4.6% 증가했으며, 귀촌가구는 33만4천129가구로 전년보다 1만1천621가구, 3.6% 증가했습니다.
귀촌인 평균연령은 40.5세였으며 40세 미만이 51.0%로 과반을 차지했습니다.
가구주 기준으로도 평균연령 44.7세에, 30대 25.9%, 40대 19.3%, 50대 18.8%, 20대 이하 18.0% 등으로 30대 이하가 40~50대보다 많았습니다.
귀촌가구의 69.5%는 1인 가구였습니다.
시도별 귀촌가구는 경기(8만9천551가구)로 가장 많았고, 경남(4만1천906가구), 경북(3만6천812가구) 등 순이었습니다.
이들의 귀촌 전 거주지역은 경기(12만389명)가 가장 많았고, 서울(7만402명), 경남(4만2천156명) 등이었습니다.
귀농인은 1만2천763명으로 전년보다 256명, 2.0% 감소했으며, 귀농가구 역시 1만2천630가구로 전년보다 245가구, 1.9% 감소했습니다.
귀농인과 귀농가구가 줄어든 것은 2013년 이후 이번이 처음입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귀농은 타 산업 경기 및 고용지표가 개선되면 반대로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며 "지난해 고용률이 전년보다 소폭 높아지고 2015~2016년 귀농이 많이 늘어나면서 귀농 증가여력이 일시적으로 감소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시도별 귀농가구는 경북(2천316가구)이 가장 많았고, 전남(1천925가구), 경남(1천668가구)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구주 성별은 남자가 67.1%, 평균 연령은 54.3세였으며, 연령별로는 50~60대가 전체의 66.0%를 차지했습니다.
40세 미만 가구주 비중은 2015년 9.6%에서 지난해 10.5%까지 꾸준히 높아졌으며, 여성가구주 비중도 2015년 30.6%에서 지난해 32.9%까지 높아졌습니다.
귀농가구의 65.2%는 1인 가구였습니다.
귀농인 중 농업에만 종사하는 전업 귀농인은 9천194명으로 전체의 72.0%였으며, 겸업 귀농인은 3천569명, 28.0%였습니다.
귀어인은 991명으로 전년보다 14명, 1.4% 감소했으며, 귀어가구는 906가구로 전년보다 23가구, 2.5% 줄었습니다.
가구주 평균연령은 50.1세였으며, 40~50대가 58.3%를 차지했습니다.
1인 가구가 전체의 68.8%였습니다.
귀어인의 92.7%는 어로어업에 종사했으며, 내수면 어업은 4.4%, 양식어업은 2.8%로 집계됐습니다.
한편, 정부는 귀농창업 및 주택자금 지원규모를 지난해 2천500억 원에서 올해 3천억 원 규모로 확대하는 등 귀농·귀촌에 대한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귀촌 희망인을 대상으로 농산업 창업교육 도입을 추진하고 관련법 개정을 통해 귀농·귀촌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귀농·귀촌 실태조사 주기도 5년에서 1년으로 단축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