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4일은 입춘(入春)이다. 글자 그대로 봄에 접어드는 시기라는 뜻이지만 바람은 여전히 차갑다. 입춘은 정확히 어떤 날이며 우리 조상들은 왜 이날을 입춘으로 정했을까.
입춘은 24절기 중 첫번째 절기로, 대한(大寒)과 우수(雨水) 사이에 있는 절기다. 보통 양력 2월 4일께 해당하는데 올해는 정확하게 날짜가 일치한다. 입춘에는 태양의 황경(黃經)이 315도를 지나는데, 이날이 지나야 비로소 봄이 시작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입춘에는 무슨 일을 해야할까.
입춘이면 대문에 글귀를 써서 붙이는 풍습이 있다. 묵은해의 액운은 멀리 보내고 새로운 봄을 맞이하는 의미로, 글귀를 한자로 써서 대문의 좌우측에 여덟팔(八) 형태로 붙인다. 이를 입춘서(入春書) 또는 입춘축(入春祝)이라고 한다.
입춘서로는 '입춘대길 건양다경(入春大吉 建陽多慶)'이 대표적이다. 이는 '새 봄이 시작되니 경사스러운 일이 많이 생기기를 바란다'는 뜻을 담고 있다. 이 외에도 '부모천년수 자손만대영(父母千年壽 子孫萬代榮, 부모는 천년을 장수하시고 자식은 만대까지 번영하라)' '수여산 부여해(壽如山 富如海, 산처럼 오래 살고 바다처럼 재물이 쌓여라)' 등의 글귀를 적는다.
입춘서는 태양의 황경이 315도가 되는 입춘 당일 오전 7시 3분에 붙여야 효혐이 있다고 전해진다. 한번 붙인 입춘서는 떼어내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가 이듬해 그 위에 새로 적은 입춘첩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반복한다.
아울러 동지부터 입춘까지는 삼재에 든 사람의 액운을 물리치기 위해 삼재(三災)풀이를 하곤 했다.
속옷에 '삼재팔난(三災八難)', '삼재액살소멸(三災厄殺燒滅)을 적어 속옷을 불에 태우기도 하고 삼재 부적을 붙이는 방식이다. 참고로 올해 삼재의 띠는 호랑이띠, 말띠, 개띠 등이다.
한해의 시작은 1월이지만 24절기 가운데 첫번째에 위치한 입춘은 온갖 만물의 탄생과 소생을 알리는 또다른 의미의 새해 시작점이다. 정유년 새 봄을 맞는 의미에서 올해는 집안에 입춘서를 붙여보는게 어떨까. 또 굳이 글을 써붙이지 않고 글귀를 외워도 좋다고 하니 가족, 친지, 친구 등 위 글귀를 메시지로 보내 새 봄 인사를 해보는 것도 좋겠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