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백남기씨 사인 두고 대학교수들 '갑론을박'
고(故) 백남기 씨 사망진단서를 두고 서울대병원이 내홍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별위원회 이윤성 위원장과 담당 주치의였던 백선하 교수가 날카로운 대립각을 보이며 맞서는 모양새입니다.
이에 따라 서울대병원 교수진 사이에서도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지난 3일 긴급 기자회견에서만 해도 백선하 교수의 입장을 존중하는 듯했던 이윤성 특별위원회 위원장이 4일에는 사망진단서 자체를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을 외부에 밝히면서 이번 논란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 모양새입니다.
이윤성 위원장은 4일 "백선하 교수가 최선을 다해 진료했지만, 결국 합병증으로 백남기 씨가 사망했으므로 '병사'로 기록했다고 해명했으나 이 의견에 공감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 위원장은 백선하 교수가 유족 측의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에 따라 체외투석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못 했다는 점을 근거로 사망진단서에 '병사'로 기록한 행위 자체가 이해가 안 간다고 언급했습니다.
고인이 서울대병원으로 후송된 최초 원인이 뇌에 충격을 받아 발생하는 '급성 경막하출혈'인만큼 사망진단서에 병사가 아닌 외인사로 기록하는 것이 옳다는 주장입니다.
이 위원장은 "만약 내 뇌수술을 한다면 백선하 교수에게 맡길 수 있으나, 사망진단서 작성은 절대 맡기지 않겠다"는 다소 강경한 발언도 했다.
이처럼 이 위원장이 강경 발언을 내놓은 것은 전날 긴급 기자회견에도 불구하고 사망진단서가 잘못 작성됐다는 여론이 수그러들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백선하 교수는 "백 씨의 유족 측이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고 체외투석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에 동의하지 않아 급성 신부전으로 사망한 것으로 판단했으므로 '병사'로 기록했을 뿐 다른 의도는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단, 이 위원장은 외압이 작용한 것 같지는 않다는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이 위원장은 "유명인사가 의료기관에 입원하거나 사망하면 부원장급까지 보고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일 뿐 사망진단서 작성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이 위원장의 행보에 대해 서울대병원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다만 워낙 민감한 사안이므로 적극적으로 본인의 의견을 내는 교수는 찾기 어려웠습니다.
A 교수는 "특별위원회에 참가하지 않았으므로 구체적인 사안을 언급하긴 곤란하지만, 원칙대로 사망진단서가 작성된다면 지금과 다른 형태(외인사 표현 등)로 되지 않았을까 싶다"고 슬며시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그에 반해 주치의인 백선하 교수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B 교수는 "사망진단서 작성은 환자를 가장 옆에서 진료해 온 주치의가 상황을 제일 잘 알기 때문에 그 사람의 의견을 반영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습니다.
의학적 판단을 넘어 정치적인 사안으로 번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 대해 안타까워 하는 교수들도 있었습니다.
C 교수는 "백 씨의 사망진단서 논란으로 서울대병원이 마치 정권에 휘둘리는 것처럼 외부에 비춰지는 시선이 부담스럽다"며 "외압이 없었다는 게 분명하고 어제 긴급 기자회견까지 열었으나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어 앞으로 병원 내에서는 교수들끼리 생채기만 남길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고 우려했습니다.
D 교수 역시 "의료기관과 의료진의 진료 활동을 정치적인 색깔로 끼고 봐서는 안 된다"며 "특별위원회와 주치의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나, 보통 사망진단서 작성은 주치의가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므로 신뢰를 보내주는 게 옳다고 본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서울대병원 특별위원회는 '백 씨의 사망진단서는 작성 원칙에 어긋났지만, 의사의 재량권을 인정하고 관련 사실을 해명했으므로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후 해산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당분간 백 씨의 사망진단서를 둘러싼 논란은 서울대병원 내외부적으로 계속될 전망입니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특별위원회가 해산함에 따라 백 씨의 사망진단서는 더는 수정 논의도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며 "특별위원회가 내린 '주치의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는 결론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고(故) 백남기 씨 사망진단서를 두고 서울대병원이 내홍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별위원회 이윤성 위원장과 담당 주치의였던 백선하 교수가 날카로운 대립각을 보이며 맞서는 모양새입니다.
이에 따라 서울대병원 교수진 사이에서도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지난 3일 긴급 기자회견에서만 해도 백선하 교수의 입장을 존중하는 듯했던 이윤성 특별위원회 위원장이 4일에는 사망진단서 자체를 인정할 수 없다는 의견을 외부에 밝히면서 이번 논란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는 모양새입니다.
이윤성 위원장은 4일 "백선하 교수가 최선을 다해 진료했지만, 결국 합병증으로 백남기 씨가 사망했으므로 '병사'로 기록했다고 해명했으나 이 의견에 공감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특히 이 위원장은 백선하 교수가 유족 측의 연명의료계획서 작성에 따라 체외투석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못 했다는 점을 근거로 사망진단서에 '병사'로 기록한 행위 자체가 이해가 안 간다고 언급했습니다.
고인이 서울대병원으로 후송된 최초 원인이 뇌에 충격을 받아 발생하는 '급성 경막하출혈'인만큼 사망진단서에 병사가 아닌 외인사로 기록하는 것이 옳다는 주장입니다.
이 위원장은 "만약 내 뇌수술을 한다면 백선하 교수에게 맡길 수 있으나, 사망진단서 작성은 절대 맡기지 않겠다"는 다소 강경한 발언도 했다.
이처럼 이 위원장이 강경 발언을 내놓은 것은 전날 긴급 기자회견에도 불구하고 사망진단서가 잘못 작성됐다는 여론이 수그러들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백선하 교수는 "백 씨의 유족 측이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고 체외투석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에 동의하지 않아 급성 신부전으로 사망한 것으로 판단했으므로 '병사'로 기록했을 뿐 다른 의도는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단, 이 위원장은 외압이 작용한 것 같지는 않다는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이 위원장은 "유명인사가 의료기관에 입원하거나 사망하면 부원장급까지 보고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일 뿐 사망진단서 작성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이 같은 이 위원장의 행보에 대해 서울대병원 내부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다만 워낙 민감한 사안이므로 적극적으로 본인의 의견을 내는 교수는 찾기 어려웠습니다.
A 교수는 "특별위원회에 참가하지 않았으므로 구체적인 사안을 언급하긴 곤란하지만, 원칙대로 사망진단서가 작성된다면 지금과 다른 형태(외인사 표현 등)로 되지 않았을까 싶다"고 슬며시 문제점을 지적했습니다.
그에 반해 주치의인 백선하 교수의 의견을 최대한 존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B 교수는 "사망진단서 작성은 환자를 가장 옆에서 진료해 온 주치의가 상황을 제일 잘 알기 때문에 그 사람의 의견을 반영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습니다.
의학적 판단을 넘어 정치적인 사안으로 번지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 대해 안타까워 하는 교수들도 있었습니다.
C 교수는 "백 씨의 사망진단서 논란으로 서울대병원이 마치 정권에 휘둘리는 것처럼 외부에 비춰지는 시선이 부담스럽다"며 "외압이 없었다는 게 분명하고 어제 긴급 기자회견까지 열었으나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어 앞으로 병원 내에서는 교수들끼리 생채기만 남길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고 우려했습니다.
D 교수 역시 "의료기관과 의료진의 진료 활동을 정치적인 색깔로 끼고 봐서는 안 된다"며 "특별위원회와 주치의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으나, 보통 사망진단서 작성은 주치의가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므로 신뢰를 보내주는 게 옳다고 본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 서울대병원 특별위원회는 '백 씨의 사망진단서는 작성 원칙에 어긋났지만, 의사의 재량권을 인정하고 관련 사실을 해명했으므로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후 해산한 상태입니다.
이에 따라 당분간 백 씨의 사망진단서를 둘러싼 논란은 서울대병원 내외부적으로 계속될 전망입니다.
서울대병원 관계자는 "특별위원회가 해산함에 따라 백 씨의 사망진단서는 더는 수정 논의도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며 "특별위원회가 내린 '주치의의 판단을 존중해야 한다'는 결론이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