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늙어가는 전북' 65세 이상 인구 17.8%…'초고령사회' 진입 임박
전북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3년 새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28일 전주고용노동지청이 발간한 '2016 전북지역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북의 주민등록인구는 187만명으로, 이 중 17.8%가 65세 이상으로 조사됐습니다.
전북의 고령 인구 비율은 2013년 16.7%, 2014년 17.2%, 2015년 17.8%로 최근 3년간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국제연합(UN)은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 '고령사회', 20% 이상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현재 속도라면 전북은 3∼4년 안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북은 일자리 부족 등으로 청년 인구 유출과 농업 위주의 경제 구조가 맞물려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고 전주고용지청은 분석했습니다.
고령화 지수 외에도 이 자료집에는 전북지역 노동시장의 인구, 산업, 경제구조, 고용 관련 지표 등 고용여건을 나타내는 다양한 통계가 수록됐습니다.
지난해 도내 고용률(15∼64세)은 64.2%로 2010년 이후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군별로는 진안군(78.9%), 장수군(77.6%)이 상위권을 차지해 농업인구가 많은 지역에 고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주고용지청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과 인력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집을 발간했다"며 "전북은 다른 지역보다 빠르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mbnreporter01@mbn.co.kr]
전북의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3년 새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28일 전주고용노동지청이 발간한 '2016 전북지역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북의 주민등록인구는 187만명으로, 이 중 17.8%가 65세 이상으로 조사됐습니다.
전북의 고령 인구 비율은 2013년 16.7%, 2014년 17.2%, 2015년 17.8%로 최근 3년간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
국제연합(UN)은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 '고령사회', 20% 이상 '초고령사회'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현재 속도라면 전북은 3∼4년 안에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북은 일자리 부족 등으로 청년 인구 유출과 농업 위주의 경제 구조가 맞물려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고 전주고용지청은 분석했습니다.
고령화 지수 외에도 이 자료집에는 전북지역 노동시장의 인구, 산업, 경제구조, 고용 관련 지표 등 고용여건을 나타내는 다양한 통계가 수록됐습니다.
지난해 도내 고용률(15∼64세)은 64.2%로 2010년 이후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시·군별로는 진안군(78.9%), 장수군(77.6%)이 상위권을 차지해 농업인구가 많은 지역에 고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주고용지청 관계자는 "일자리 창출과 인력수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료집을 발간했다"며 "전북은 다른 지역보다 빠르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청년 일자리 창출 등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