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향예보를 보다 일찍 도입했다면 이번 제주 지역의 기상악화로 인한 항공기 및 여객선 결항도 미리 대응할 수 있었을 겁니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27일 올해 업무계획을 발표하면서 “올해부터 영향예보 시행을 위한 기반마련과 시범사업에 중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그는 “영향예보를 위한 관측망 확충, 수치모델 개발, 예보역량 강화,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기상청의 모든 시스템과 서비스가 개선돼야 한다”며 “영향예보가 정식 서비스되는 2020년까지 약 350억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영향예보는 날씨·기후 영향에 따른 위험성 등을 국민에게 알려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비나 눈이 언제, 어디에 오는가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대설이나 강풍으로 인한 항공기·여객선 결항 가능성, 결빙·안개 등에 의해 사고 위험성이 큰 도로구간,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예상지역 등을 알려주는 것이다.
고 청장은 영향예보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을 위해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하고 각 자동차에 달려있는 온도·습도 센서를 통해 정보를 얻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기상청은 또 3월부터 관계부처 합동으로 ‘통합 가뭄 예·경보’를 시범 제공한다. 과거엔 ‘A지역 가뭄주의’라는 경보만 내렸다면 앞으로는 ‘기상가뭄(주의), 생활·공업용수(주의), 농업용수(관심)’ 등으로 세분화해서 전국 162개 주요 시·군에 알린다.
교통안전을 위해 도로에서 발생하는 위험기상정보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연말부터 영동고속도로를 대상으로 시험 운영한다. 정식 서비스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시기에 맞춰 실시된다.
기상청은 또 6월께 ‘기상기후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민간에 개방해 스타트업, 대학 등의 융합 서비스 개발을 돕고 창업을 지원할 방침이다. 민간과 공공에서 겹치는 서비스는 되도록 민간에서 서비스하도록 지원한다. 국제협력 강화를 위해선 개발도상국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통해 우리 기상관측 기술을 수출하고 국제 기상 전문가를 양성한다.
[정슬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