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현재 50세 이상 우리나라 국민이 노후에 최저 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고 여기는 월 생활비는 부부기준으로 약 160만원, 개인기준으로 약 99만원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노후에 표준적인 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월 적정 생활비는 부부기준으로 225만원, 개인기준으로 142만원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 산하 국민연금연구원 송현주·이은영·임란·김호진 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의 ‘중·고령자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 연구보고서를 10일 내놨다.
이 보고서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우리나라 중·고령층의 노후 준비와 생활 실태를 파악하고자 만 50세 이상 가구원이 있는 전국 5110가구를 대상으로 2005년부터 격년으로 시행하는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2013년도 제5차 조사결과를 분석했다.
5차년도 조사결과, 응답자들이 인식하는 주관적 노후시작 연령은 평균 67.9세였다.
노후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으로 응답자의 56.8%가 ‘기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를 꼽았다.
노후에 필요한 월 생활비 수준을 조사해보니, 필요 최소 노후생활비는 부부기준 159만9100원, 개인기준 98만8700원으로 나타났다.
필요 적정 노후생활비는 부부기준 224만9600원, 개인기준 142만1900원으로 파악됐다.
조사시점 현재 전체 응답자의 50.7%는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지하지 않고 생활할 수 있는 독립적인 경제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노후대책 마련에서 가장 주된 역할을 담당해야 할 주체로는 전반적으로 ‘본인’(63.9%)을 꼽는 응답이 많았다. 이어 배우자, 정부 등의 순이었다.
노후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은 응답자 스스로 ‘노후시기에 진입했다고 여기느냐, 여기지 않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미 노후에 들어섰다고 인식하는 사람들은 ‘자식과 친척한테 받는 생활비와 용돈’을 생활비 마련수단으로 가장 선호했다. 이어 정부보조금, 본인이나 배우자 국민연금, 근로 활동 등으로 노후생활비를 조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시기에 아직 진입하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80.4%가 노후를 대비해 경제적으로 준비하는 게 없다고 응답했다. 실제 노후에 들어서면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할 가능성이 큰 사람들이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19.6%만이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는데, 이들은 노후준비 방법(다중응답결과)으로 1순위 국민연금(50.4%)을, 2순위 예금·적금·저축성 보험(45.0%)을, 3순위 부동산 운용(25.0%)을 각각 들었다.
자신이 노후시기에 해당한다고 인식하느냐, 않느냐에 관계없이 노후대책에서 자신에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경제적 문제’였고, 사회적으로 가장 중요하다고 여기는 부분은 ‘건강·의료’로 나타났다.
아직 노후시기 진입 이전이라고 응답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노후에 자녀와 같이 살 것인지 물어보니, 91.9%가 ‘따로 살아야 각자의 생활방식을 지킬 수 있을 것 같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자녀와 떨어져 살기를 원했다.
노후생활을 보내고 싶은 지역으로는 ‘농어촌’(35.2%)과 ‘중소도시’(32.4%)를, 살고 싶은 주택형태로는 ‘단독주택’(62.1%)을 많이 꼽았다. 주말과 주중 모두 ‘TV 시청, 라디오 청취’를 여가활동으로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에는 26.5시간을, 주말에는 13.9시간을 여가활동으로 보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