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성노예로 살았던 제가 실제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보여주는 살아있는 사례입니다. 일본군의 성노예였던 모든 피해자들은 아베 총리가 일본의 국가적 책임을 인정할 것을 촉구합니다.”
22일 서울 대방동 서울여성플라자에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주최로 열린 ‘제1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 참석한 필리핀인 위안부 피해여성 에스테리타 바스바뇨 디(85)씨는 이렇게 말했다.
1992년 서울에서 처음으로 시작한 아시아연대회의는 아시아 각 국의 피해자와 활동가들이 모여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행동을 결의하고, 국제사회를 향한 요구를 발표해 왔다.
에스테리타씨는 일본군이 필리핀을 점령하자 피난을 갔다가 1944년 시장에서 농산물을 팔던 중 일본군에 강제로 납치당했다. 이후 3주간 성노예 생활을 해야 했다.
피덴샤 데이비드(88)씨 역시 14살이던 1942년 일본군에 끌려가서 강제노동을 하고 1개월간 성폭행을 당했다.
피덴샤 씨는 당시 상황을 증언하며 울먹이다가도 “필리핀의 위안부 지원단체인 릴라 필리피나에서 일하며 문제 해결을 싸우고 있다. 각 국의 피행여성들이 연대해 끝까지 싸워 나가자”고 결연하게 말했다.
길원옥, 하상숙, 김복동 할머니와 함께 참석한 이용수(87) 할머니도 “우리가 역사의 산 증인인데 아베 정부는 끝까지 모른척을 하고 있다”며 “일본에게, 아베 총리에게 사죄와 배상을 받고 이길 때까지 200년을 살겠다”라고 말해 청중의 박수를 받았다.
정대협 윤미향 상임대표는 기조발제에서 “올해는 제2차 사계대전이 끝난지 70년이 되는 해이지만, 여전히 일본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부정하며 다시 전쟁을 할 수 있는 국가가 되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위안부 피해자들의 적절한 법적 구제가 가능하도록 한국, 중국, 대만, 네덜란드, 필리핀 등 피해국 정부들이 상호공조해 일본 정부에 해결을 촉구하고, 유엔이 위안부 제도에 대한 진상조사를 하도록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히로카 쇼지 국제앰네스티 동아시아 조사관은 “2005년 이후 일본에서는 몇몇 교과서 외에 군 성노예제도 내용을 다루는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가 없다”며 “일본 정부는 모든 책임을 받아들이고 일본 성노예 제도의 생존자들에게 사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군 성노예 제도는 국가간 외교적 문제만이 아니라 기본적인 인권의 문제”라며 “일본 정부는 이 여성들이 입은 피해를 공식적으로 인정해 생존자들의 존엄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아시아연대회의에는 한국, 필리핀의 위안부 피해자 6명을 비롯해 대만, 중국, 필리핀, 동티모르, 일본, 미국의 연구자와 시민단체 관계자가 참석해 각 국의 활동을 발표했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