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자산 불평등이 소득 불평등보다 훨씬 더 심각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습니다.
소득과 달리 자산은 실직이나 질병 등으로 가족 해체와 같은 예상치 못한 일이 닥쳤을 때 유동화해 위기에 대처하고, 향후 소비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불평등을 분석하는 주요 변수로 더 많이 활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8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우리나라 가계 소득 및 자산 분포의 특징' 보고서를 보면 우리나라 가계단위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4259인데 반해 순자산 지니계수는 0.6014로 자산불평등이 소득불평등보다 수치가 높았습니다.
지니계수는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는가를 나타내는 지수로, 0에서 1까지의 수치로 나타내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것을 뜻합니다.
보고서는 지난 2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4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해 우리나라 가계의 소득과 자산 분포의 특징을 살폈습니다.
그 결과 가처분 소득은 상위 10%가 전체 가처분 소득의 29.1%를 보유하고 하위 40%가 13.4%를 갖고 있었던 것과 대조적으로 순자산은 상위 10%가 43.7%, 하위 40%가 5.9%를 보유하는데 그쳤습니다.
아울러 해당 연령대가 전체 순자산 불평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45∼54세의 상대적 기여율이 23%로 가장 높고 55∼64세가 19.5%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이는 은퇴 전후 시기에 자산 불평등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한 보건사회연구원의 남상호 연구위원은 "지금까지 경제적 불평등은 소득 변수만을 활용해 불평등을 분석했지만, 소득과 달리 자산은 당해연도 소득에서 소비를 뺀 금액이 계속 쌓이는 개념이기 때문에 누적된 불평등을 살펴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남 위원은 "은퇴 전후 시기에 불평등이 많이 발생한다는 분석을 고려해 앞으로 불평등 추이를 분석하면서 생애주기적 속성을 반영하고, 소득·소비·자산의 다차원적 불평등 분석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습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