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세계적인 저출산 국가였던 우리나라가 초저출산국의 불명예를 11년 만에 벗게 됐습니다.
하지만 OECD 국가 중에는 출산률이 여전히 꼴찌 수준입니다.
최은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해 태어난 우리나라 신생아 수는 48만4천 명으로 전년에 비해 1만 명 이상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써 여성 1명이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수 평군, 즉 합계 출산율이 1.3명으로 오른 것으로 대통령 직속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가 분석했습니다.
합계 출산율이 1.3명 이하면 초 저출산국으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가 11년 만에 처음으로 이 기준을 넘어선 겁니다.
2001년을 기점으로 떨어지기 시작한 출산율은 2005년 바닥을 쳤지만, 이후 정부의 꾸준한 출산 장려 정책과 결혼 증가로 회복세로 돌아섰습니다.
셋째 아이 출산도 출산율 상승에 한몫했습니다.
신생아 중 셋째 아이의 비중은 1991년 5.6%까지 줄었다 반등세로 돌아서 2010년 이후 9%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갈 길은 아직 멉니다.
우리나라 출산율은 OECD 국가 중 여전히 최하위권.
게다가 고령화 속도가 빨라 일할 수 있는 인구가 줄어드는 것도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이 밖에, 지난해 11월 혼인 건수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1천 건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출산율 증가세가 계속 이어질 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최은미입니다.
세계적인 저출산 국가였던 우리나라가 초저출산국의 불명예를 11년 만에 벗게 됐습니다.
하지만 OECD 국가 중에는 출산률이 여전히 꼴찌 수준입니다.
최은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해 태어난 우리나라 신생아 수는 48만4천 명으로 전년에 비해 1만 명 이상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로써 여성 1명이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수 평군, 즉 합계 출산율이 1.3명으로 오른 것으로 대통령 직속 저출산 고령사회위원회가 분석했습니다.
합계 출산율이 1.3명 이하면 초 저출산국으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가 11년 만에 처음으로 이 기준을 넘어선 겁니다.
2001년을 기점으로 떨어지기 시작한 출산율은 2005년 바닥을 쳤지만, 이후 정부의 꾸준한 출산 장려 정책과 결혼 증가로 회복세로 돌아섰습니다.
셋째 아이 출산도 출산율 상승에 한몫했습니다.
신생아 중 셋째 아이의 비중은 1991년 5.6%까지 줄었다 반등세로 돌아서 2010년 이후 9%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갈 길은 아직 멉니다.
우리나라 출산율은 OECD 국가 중 여전히 최하위권.
게다가 고령화 속도가 빨라 일할 수 있는 인구가 줄어드는 것도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이 밖에, 지난해 11월 혼인 건수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1천 건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출산율 증가세가 계속 이어질 지는 불투명하다는 지적입니다.
MBN뉴스 최은미입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