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진 외교부 1차관은 한미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일이 연대해서 새로운 질서와 변화를 만들어 내는 하나의 큰 축이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오늘 (21일) 오후 MBN 프레스룸에 출연한 장 차관은 "그런면에서 앞으로 국제 질서·인태 지역 질서에 있어서 한국의 역할 역시 더 커지고 실질화 될 것"이라며 이 같이 전했습니다.
또 장 차관은 "처음으로 한미일 3자 정상회의만 단독으로 개최됐다는 데 무엇보다 가장 큰 의의가 있다"고도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한미일 협력은 그 동안 주로 북핵 대응을 위한 안보 협력 분야에 집중됐는데, 거기에 더해 지금은 경제·기술·첨단기술·여성 문제까지 폭을 넓혔고 지역적으로도 한반도 외에 인태 지역까지 넓혔다"며 "글로벌 복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나가는데 한미일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도 전했습니다.
이어 "'자유롭고 통일된 한국'이라는 표현이 한미일 3자가 채택한 문서에 명기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2009년 한미 동맹 미래 비전이라는 것을 채택한 적이 있는데 이와 견줄만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지난 2009년 이명박 전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이 채택한 '한미 동맹 미래비전'은 한미 관계를 기존의 군사 동맹 차원에서 벗어나 글로벌 수준의 포괄적 동맹으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장 차관은 "북핵 대응과 같은 안보 뿐 만 아니라 공급망에 대한 조기 경보 시스템을 통해 경제적인 안정성을 제고시켜 나가고 첨단 기술 보호와 발전 연대가 구축되어 경제 발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한미일 국립 암센터 연구 협력 등을 통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들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습니다.
또 "한미일이 공유하는 가치를 비롯해 정책 방향 문제 의식들도 비슷하기 때문에 (공동성명) 조율은 큰 어려움 없었다"고도 밝혔습니다.
반면 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을 반대한다는 표현에 대해서는 "중국과 관련된 문제는 아니다"라며 "인태 지역과 관련돼서 그런 표현이 들어갔기 때문에 맥락이 조금 다르다"며 선을 그었습니다.
또 한미 핵협의그룹 NCG의 일본 참여 여부에 대해서도 "일단 체제를 공고화하고 협의를 내실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도 "확장 억제에 관련해서 한미일 간에 협의하는 데 반대하지는 않는다"고 덧붙였습니다.
[ 신재우 기자 shincech@mbn.co.kr ]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