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뒤늦게 대러시아 경제 제재에 합류한 우리나라는 우방국들과 러시아를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고 미국과도 결속을 다졌다.
우리나라는 24일 미국·일본·캐나다·노르웨이 등 '민주주의 공동체' 소속 국가들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민주주의 공동체 각국은 성명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계속된 적대행위를 강력히 규탄한다"며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을 명백히 지지한다"고 밝혔다.
민주주의 공동체는 미국 클린턴 행정부가 지난 2000년 조성한 국제 협력체로, 민주주의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과 신생민주주의 정착 지원 등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 협력체는 그간 활동이 활발하지 않았는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맞서 미국이 다시 세를 규합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은 25일(한국시간) 바이든 대통령이 러시아에 대한 강도높은 추가 제재를 발표한 직후 국무부 주도로 제재 참여 우방국들과 일일이 전화 통화를 하고 외교적 단결을 독려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라트비아·폴란드·터키·인도·이스라엘·UAE 외교장관들과 통화했고, 웬디 셔먼 부장관은 한국을 비롯한 프랑스·독일·이탈리아·영국·네덜란드·사우디아라비아·콜롬비아·포르투갈 외교차관들과 전화로 대화를 나눴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통화에서 러시아가 재앙적인 인명피해와 고통을 가져오는 행동을 저지른 것에 책임을 물 수 있도록 단합되고 결단력 있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의 중요성을 재차 밝혔다고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최종건 1차관도 셔먼 국무부장관과 통화에서 "우리 정부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사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경제제재 포함 국제사회의 대응 노력에 적극 동참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정의용 외교장관은 이날 국회 외통위에 출석해 우크라이나 상황과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방향을 설명했다. 정 장관은 미국 등이 우크라에서 군사행동을 할 가능성과 이 경우 한국이 동참할 의사가 있느냐는 국민의힘 지성호 의원의 질문에 "우리 동맹 또는 우방국들이 우크라에 군사적 행동을 할 계획은 없는 것으로 거듭 천명하고 있고 당연히 우리로서도 그런 가능성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한예경 기자 / 이희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