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취임 4주년 특별연설과 질의응답은 한 시간 넘게 진행됐습니다.
인사청문회, 사면, 윤석열 전 검찰총장 등 다양한 주제가 나왔는데, 빠진 부분 살펴보겠습니다.
청와대 출입하는 송주영 기자 나와 있습니다.
【 질문1 】
먼저, 이번 특별연설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가 '경제'입니다. 무려 48번이나 언급됐죠?
【 답변1 】
그 만큼 코로나 충격에서 벗어나 국민 먹고 사는 문제에서 성과를 내겠단 의지가 강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인터뷰 : 오늘 취임 4주년 특별연설
- "빠른 경제 회복이 민생 회복으로 이어지게 하고 일자리 확보, 코로나 격차와 불평등 해결에 전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특히 경제활력을 찾기 위한 구체적 과제로 일자리 문제와 신산업 육성을 꼽았는데요.
취임 초 '일자리 대통령'을 표방하고,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했던 모습을 떠올려 보면, 남은 임기 1년에 집중해야 할 분야가 낯설 지 않습니다.
【 질문2 】
사면 질문도 나왔던데, 지난 신년기자회견 때와 답변이 좀 달라졌나요?
【 답변2 】
분명 차이가 느껴집니다.
비교를 위해서 지난 1월 18일 신년기자회견 때와 오늘 발언 이어서 들어보시겠습니다.
▶ 인터뷰 : 문재인 / 대통령 (지난 1월18일 신년 기자회견)
- "지금은 사면을 말할 때가 아니다라는 생각입니다. 재판 절차가 이제 막 끝났습니다."
▶ 인터뷰 : 문재인 / 대통령
- "국민 통합에 미치는 영향도 생각하고, 또 한편으로 우리 사법의 정의, 형평성, 또 국민들 공감대, 이런 것 생각하면서 판단해 나가겠습니다."
두 번의 답변 때 모두 말미에는 국민 공감대를 고려해 사면을 고려하겠다고 했지만,
하지만 이번에는 전직 대통령 사면도 그렇고, 특히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경우는 반도체 경쟁력 측면을 언급하며 여론을 살피는 분위기입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 역시 문 대통령의 사면 뉘앙스가 변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많이 듣고 계시다"고 전했습니다.
【 질문3 】
인사청문회 관련해서도 대통령이 야당에 대한 불만을 간접적으로 털어놓은 것 같은데요?
【 답변3 】
문 대통령 발언은 야당이 반대하는 3명 장관 후보자에 대한 판단을 묻는 질문에서 나온건데, 검증 실패로 보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오늘 취임 4주년 특별연설
- "야당에서 반대한다고 해서 저는 검증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청와대의 검증이 완결적인 것은 아닙니다."
민정팀 구성상 청와대가 책임질 수도 없고 국회, 언론이 모두 함께 하는 것이란 취지의 발언입니다.
결국 이 불똥이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 인청 보고서 채택 불발로 이어진 겁니다.
【 질문4 】
그런데 인사청문회 제도는 왜 비판한거죠?
【 답변4 】
지금의 인사청문회는 검증보다는 무안주기식으로 변질돼 인재 발탁에 어려움이 있다는 겁니다. 들어보시죠.
▶ 인터뷰 : 오늘 취임 4주년 특별연설
- "우리 인사청문회는 능력 부분은 그냥 제쳐두고 오로지 흠결만 놓고 따지는 그런 청문회가 되고 있습니다."
이렇다보니 장관 후보자 찾기가 쉽지 않다는 건데요.
그래서 여당도 누차 얘기했지만 도덕성 검증 부분은 비공개로, 정책과 능력만 공개 청문회로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러자 국민의힘은 야당 대표일 때는 청문회를 핑계로 비판하다가 왜 입장이 바뀌었냐고 비꼬았습니다.
【 질문5 】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한 질문도 나왔죠?
【 답변5 】
지난 신년기자회견 때는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라며 길게 입장을 얘기했는데, 이번에는 말을 아꼈습니다.
확실히 다른 모습인데, 직접 들어보시죠.
▶ 인터뷰 : 문재인 / 대통령
- "윤석열 총장은 지금 유력한 차기 대선 주자로 그렇게 인정이 되고 있기 때문에 제가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이런 반응에 대해서 청와대 안팎에서는 자칫 선거개입 등 정치적 논란에 휩싸일 수 있어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난 2007년 대선에 출마하려는 손학규 전 바른미래당 대표를 '보따리 장수'에 비유해 곤욕을 치른 적이 있는데요.
당시 문 대통령은 마지막 비서실장을 맡으면서 이 상황을 모두 지켜봤고, 여기서 교훈을 얻었을 것이란 해석입니다.
또 하나는 그냥 윤 전 총장을 철저히 무시하기 위해 언급하지 않았단 분석도 있습니다.
【 클로징 】
지금까지 정치부 송주영 기자였습니다.
영상편집 : 한남선
취임 4주년 특별연설과 질의응답은 한 시간 넘게 진행됐습니다.
인사청문회, 사면, 윤석열 전 검찰총장 등 다양한 주제가 나왔는데, 빠진 부분 살펴보겠습니다.
청와대 출입하는 송주영 기자 나와 있습니다.
【 질문1 】
먼저, 이번 특별연설에서 가장 많이 나온 단어가 '경제'입니다. 무려 48번이나 언급됐죠?
【 답변1 】
그 만큼 코로나 충격에서 벗어나 국민 먹고 사는 문제에서 성과를 내겠단 의지가 강하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인터뷰 : 오늘 취임 4주년 특별연설
- "빠른 경제 회복이 민생 회복으로 이어지게 하고 일자리 확보, 코로나 격차와 불평등 해결에 전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특히 경제활력을 찾기 위한 구체적 과제로 일자리 문제와 신산업 육성을 꼽았는데요.
취임 초 '일자리 대통령'을 표방하고,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했던 모습을 떠올려 보면, 남은 임기 1년에 집중해야 할 분야가 낯설 지 않습니다.
【 질문2 】
사면 질문도 나왔던데, 지난 신년기자회견 때와 답변이 좀 달라졌나요?
【 답변2 】
분명 차이가 느껴집니다.
비교를 위해서 지난 1월 18일 신년기자회견 때와 오늘 발언 이어서 들어보시겠습니다.
▶ 인터뷰 : 문재인 / 대통령 (지난 1월18일 신년 기자회견)
- "지금은 사면을 말할 때가 아니다라는 생각입니다. 재판 절차가 이제 막 끝났습니다."
▶ 인터뷰 : 문재인 / 대통령
- "국민 통합에 미치는 영향도 생각하고, 또 한편으로 우리 사법의 정의, 형평성, 또 국민들 공감대, 이런 것 생각하면서 판단해 나가겠습니다."
두 번의 답변 때 모두 말미에는 국민 공감대를 고려해 사면을 고려하겠다고 했지만,
하지만 이번에는 전직 대통령 사면도 그렇고, 특히 이재용 삼성 부회장의 경우는 반도체 경쟁력 측면을 언급하며 여론을 살피는 분위기입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 역시 문 대통령의 사면 뉘앙스가 변했느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많이 듣고 계시다"고 전했습니다.
【 질문3 】
인사청문회 관련해서도 대통령이 야당에 대한 불만을 간접적으로 털어놓은 것 같은데요?
【 답변3 】
문 대통령 발언은 야당이 반대하는 3명 장관 후보자에 대한 판단을 묻는 질문에서 나온건데, 검증 실패로 보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오늘 취임 4주년 특별연설
- "야당에서 반대한다고 해서 저는 검증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청와대의 검증이 완결적인 것은 아닙니다."
민정팀 구성상 청와대가 책임질 수도 없고 국회, 언론이 모두 함께 하는 것이란 취지의 발언입니다.
결국 이 불똥이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 인청 보고서 채택 불발로 이어진 겁니다.
【 질문4 】
그런데 인사청문회 제도는 왜 비판한거죠?
【 답변4 】
지금의 인사청문회는 검증보다는 무안주기식으로 변질돼 인재 발탁에 어려움이 있다는 겁니다. 들어보시죠.
▶ 인터뷰 : 오늘 취임 4주년 특별연설
- "우리 인사청문회는 능력 부분은 그냥 제쳐두고 오로지 흠결만 놓고 따지는 그런 청문회가 되고 있습니다."
이렇다보니 장관 후보자 찾기가 쉽지 않다는 건데요.
그래서 여당도 누차 얘기했지만 도덕성 검증 부분은 비공개로, 정책과 능력만 공개 청문회로 하자고 제안했습니다.
그러자 국민의힘은 야당 대표일 때는 청문회를 핑계로 비판하다가 왜 입장이 바뀌었냐고 비꼬았습니다.
【 질문5 】
윤석열 전 검찰총장에 대한 질문도 나왔죠?
【 답변5 】
지난 신년기자회견 때는 "문재인 정부의 검찰총장"이라며 길게 입장을 얘기했는데, 이번에는 말을 아꼈습니다.
확실히 다른 모습인데, 직접 들어보시죠.
▶ 인터뷰 : 문재인 / 대통령
- "윤석열 총장은 지금 유력한 차기 대선 주자로 그렇게 인정이 되고 있기 때문에 제가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이런 반응에 대해서 청와대 안팎에서는 자칫 선거개입 등 정치적 논란에 휩싸일 수 있어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난 2007년 대선에 출마하려는 손학규 전 바른미래당 대표를 '보따리 장수'에 비유해 곤욕을 치른 적이 있는데요.
당시 문 대통령은 마지막 비서실장을 맡으면서 이 상황을 모두 지켜봤고, 여기서 교훈을 얻었을 것이란 해석입니다.
또 하나는 그냥 윤 전 총장을 철저히 무시하기 위해 언급하지 않았단 분석도 있습니다.
【 클로징 】
지금까지 정치부 송주영 기자였습니다.
영상편집 : 한남선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