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강 의원은 이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5월 말 방일 직후 한국을 '들러달라'고 제안했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는 사실과 다르다며 외교관례에 어긋나는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지만, 강 의원은 미국 외교소식통을 통해 확인했다고 맞받았습니다.
이후 외교부는 감찰을 통해 이를 유출한 사람을 찾아냈는데, 주미 한국대사관 소속 공사참사관 A씨가 지목됐습니다.
우연일까요? A씨는 강 의원의 고등학교 후배입니다.
외교부는 A씨가 한미정상통화 다음날 내용을 열람하고 강 의원과 전화통화로 정보를 공유한 걸로 파악했는데, 청와대는 본인이 누설을 시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두고, 강 의원은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 밝힌 게 왜 잘못이냐며 외교관 휴대전화 조사가 가당치 않다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외교부가 징계절차에 착수한 가운데, 자유한국당은 공익제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청와대와 민주당은 기밀 유출에 따른 책임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정인 기자입니다.
강효상 자유한국당 의원은 지난 9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
강 의원은 이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5월 말 방일 직후 한국을 '들러달라'고 제안했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는 사실과 다르다며 외교관례에 어긋나는 근거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했지만, 강 의원은 미국 외교소식통을 통해 확인했다고 맞받았습니다.
이후 외교부는 감찰을 통해 이를 유출한 사람을 찾아냈는데, 주미 한국대사관 소속 공사참사관 A씨가 지목됐습니다.
우연일까요? A씨는 강 의원의 고등학교 후배입니다.
외교부는 A씨가 한미정상통화 다음날 내용을 열람하고 강 의원과 전화통화로 정보를 공유한 걸로 파악했는데, 청와대는 본인이 누설을 시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두고, 강 의원은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 밝힌 게 왜 잘못이냐며 외교관 휴대전화 조사가 가당치 않다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외교부가 징계절차에 착수한 가운데, 자유한국당은 공익제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지만 청와대와 민주당은 기밀 유출에 따른 책임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정인 기자입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