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환 대법관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김 후보자의 부동산 다운계약서와 위장전입 전력을 두고 여야가 공방을 벌였다.
김 후보자는 앞서 청문회 서면 질의·답변 과정에서 1994∼1998년 세 차례 위장전입과 1992∼2002년 두 차례 다운계약서 작성을 인정했다.
4일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 김승희 의원은 "위장전입은 실정법 위반이고, 다운계약서 작성은 취·등록세 의무화 이전이라고 해도 탈세에 해당한다"며 "특히 반포 자이 아파트에 2년 10개월만 거주한 것은 1가구 2주택 비과세 요건을 충족하려고 그런 것"이라고 주장했다.
같은 당 신보라 의원은 "법관이라면 다운계약서 작성이 법에 저촉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을 것"이라며 "그런데도 그런 행위를 했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고 꼬집었다.
![인사청문회 참석한 김상환 대법관 후보자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img.mbn.co.kr/filewww/news/other/2018/12/04/414748014121.jpg)
인사청문회 참석한 김상환 대법관 후보자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반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김 후보자는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과 관련해 원세훈 전 국정원장에게 2심 재판장으로서 실형 3년을 선고하면서 법정 구속했다"며 "오래전부터 대법관감이라는 평이 있었다"고 언급했다.민주당 신동근 의원도 "위장전입의 경우 2005년 7월 이전이었고, 부동산 투기나 자녀 학교 배정 등의 목적도 아니었다"며 "본인의 양심과 도덕적·윤리적 문제가 있지만, 인사에서 배제돼야 할 만큼 큰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머리 만지는 김상환 대법관 후보자 [사진 출처 = 연합뉴스]](https://img.mbn.co.kr/filewww/news/other/2018/12/04/100122071841.jpg)
머리 만지는 김상환 대법관 후보자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편 김 후보자는 야당 의원들의 질타에 거듭 사과했다.그는 위장전입과 다운계약서에 대해 "사려 깊지 못했던 잘못을 솔직히 인정하고, 대법관 후보자에 대한 국민의 기대에 부합하지 못한 데 대해 사과 말씀을 드리고 싶은 심정"이라며 "(다운계약서) 역시 안일하게 법관으로서 사려 깊지 못하게 대처한 것에 대해서 국민과 청문위원들께 잘못을 솔직히 인정하고 사과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고개를 숙였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