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한·일 위안부 합의문에서 가장 논란이 된 것은 '불가역적 해결'이란 문구였습니다.
원래 이 문구는 우리가 일본의 사과가 뒤바뀔까봐 제안했는데, 합의문에는 이상한 위치에 놓이게 됐습니다.
표현에 문제가 있다고 외교부는 검토를 요구했지만, 청와대는 이를 묵살했습니다.
계속해서 서정표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 2015년 위안부 합의 뒤 가진 공동기자회견.
▶ 인터뷰 : 윤병세 / 당시 외교부 장관(2015년 12월)
- "이번 발표를 통해 일본 정부와 함께 이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한다."
우리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일본에 다시 제기할 수 없다는 취지로 해석될 수 있고, 일본 정부는 실제 그렇게 활용했습니다.
▶ 인터뷰 : 아베 신조 / 일본 총리(2016년 1월)
- "박근혜 대통령에게 말했습니다. 자꾸 질문받을 때마다 언급하면 최종적·불가역적 해결이 아닙니다."
위안부 TF팀에 따르면 '불가역적'이란 말은 우리 정부가 협상 과정에서 일본 정부의 사죄가 번복되지 않도록 먼저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합의문에 일본의 사과를 못박는 위치가 아닌 다른 곳에 들어가며 취지가 훼손됐습니다.」
당시 외교부는 '불가역적' 표현의 문제점을 청와대에 전달했지만 묵살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인터뷰 : 오태규 / 위안부 TF 위원장
- "(외교부는) 잠정 합의 직후 '불가역적' 표현이 포함되면 국내적으로 반발이 예상될 것이므로 삭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으나…"
우리 정부는 또 협의 과정에서 정부 쪽의 의도를 확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표현을 포함하려는 노력조차 적극적으로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서정표입니다. [deep202@mbn.co.kr]
영상취재 : 이재기 기자
영상편집 : 서정혁
한·일 위안부 합의문에서 가장 논란이 된 것은 '불가역적 해결'이란 문구였습니다.
원래 이 문구는 우리가 일본의 사과가 뒤바뀔까봐 제안했는데, 합의문에는 이상한 위치에 놓이게 됐습니다.
표현에 문제가 있다고 외교부는 검토를 요구했지만, 청와대는 이를 묵살했습니다.
계속해서 서정표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 2015년 위안부 합의 뒤 가진 공동기자회견.
▶ 인터뷰 : 윤병세 / 당시 외교부 장관(2015년 12월)
- "이번 발표를 통해 일본 정부와 함께 이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한다."
우리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일본에 다시 제기할 수 없다는 취지로 해석될 수 있고, 일본 정부는 실제 그렇게 활용했습니다.
▶ 인터뷰 : 아베 신조 / 일본 총리(2016년 1월)
- "박근혜 대통령에게 말했습니다. 자꾸 질문받을 때마다 언급하면 최종적·불가역적 해결이 아닙니다."
위안부 TF팀에 따르면 '불가역적'이란 말은 우리 정부가 협상 과정에서 일본 정부의 사죄가 번복되지 않도록 먼저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합의문에 일본의 사과를 못박는 위치가 아닌 다른 곳에 들어가며 취지가 훼손됐습니다.」
당시 외교부는 '불가역적' 표현의 문제점을 청와대에 전달했지만 묵살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인터뷰 : 오태규 / 위안부 TF 위원장
- "(외교부는) 잠정 합의 직후 '불가역적' 표현이 포함되면 국내적으로 반발이 예상될 것이므로 삭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으나…"
우리 정부는 또 협의 과정에서 정부 쪽의 의도를 확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표현을 포함하려는 노력조차 적극적으로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서정표입니다. [deep202@mbn.co.kr]
영상취재 : 이재기 기자
영상편집 : 서정혁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