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7일 군사당국회담과 적십자 회담을 동시에 제안하면서 회신 채널을 특정해 남북간 연락 채널을 복원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정부는 "북측의 긍정적인 호응을 기대한다"며 "군사당국회담에 대해서는 서해지구 군 통신선을 통해 적십자회담에 대해서는 판문점 남북 적십자 연락사무소를 통해 각각 회신해달라"고 밝혔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이날 언론 발표문에서 "남북간 긴장 완화와 현안 문제를 협의해 나가기 위해 판문점 남북 연락채널 및 서해 군통신선이 조속히 정상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북측에 촉구한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북한과 연락채널이 끊긴 상태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북한은 지난해 2월 개성공단 폐쇄에 대한 대응으로 군 통신선과 판문점 연락채널을 차단했다.
이번 두 회담의 제안도 국방부와 대한적십자사가 북한에 직접 통지문을 보내지 못하고 언론을 통해 발표했다.
정부 당국자는 "현재는 우리가 직통전화로 통화하려고 해도 북쪽에서 스위치를 꺼놓아 응답이 이뤄지지 않는 상황"이라며 "남북대화가 복원되지 않더라고 남북 간 연락채널은 최소한의 소통 창구"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요구에 북한이 순순히 연락채널 복원에 나설지는 미지수다. 사소한 사안까지 대화카드로 활용하는 북한의 관행으로 볼 때 개성공단 재가동 등 자신들이 원하는 다른 사안과 연계하려고 할 가능성이 있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우리는 통신선을 연결해서 답을 해달라 요구했지만 북한이 통신선을 순순히 복원해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디지털뉴스국 손희정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