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前정권 밀월 관계, 검찰 수사로 재조명
롯데그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역대 정권과 롯데그룹 간의 긴밀했던 관계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롯데는 국내 최고층(123층) 빌딩인 제2롯데월드 인허가, 면세사업 확대, 맥주 사업 진출 등 이명박 정권 당시 많은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신격호 총괄회장의 숙원사업이던 제2롯데월드 건설은 김영삼 정부 때부터 추진해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군 당국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되다가 이명박 정부 들어 인허가를 받았습니다.
서울공항 비행안전성 논란 등 사회적으로 많은 우려가 나옴에도 2009년 정부는 서울공항 동편활주로 방향을 3도 변경하는 등 대안을 마련해 제2롯데월드 건축을 허용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제2롯데월드의 용적률과 건폐율도 상향 조정돼 층고는 112층에서 123층으로 오히려 높아졌습니다.
롯데그룹이 면세점 사업을 확대하게 된 배경에도 정권의 특혜 논란이 나옵니다.
2010년 공정거래위원회는 호텔롯데의 AK글로벌 면세점 인수를 독과점 논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조건 없이 승인했습니다.
당시 시내 면세점 기준 롯데의 시장 점유율은 52.3%(소공점·잠실점 합산), AK는 4.7%로 점유율 합계가 57.0%가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인천공항 면세점의 경우 롯데 점유율이 37.2%로 2위, AK는 13.9%로 3위여서 결합 후 점유율이 51.1%가 돼 당시 1위인 신라(38.3%)를 제치고 롯데가 1위 사업자가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롯데는 2012년 3월 국세청으로부터 주류 제조업 허가를 받고 맥주 제조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정부가 그 직전인 2011년 맥주 제조 면허를 위한 저장시설 기준을 1850㎘에서 100㎘ 이상으로 완화해 진입 장벽을 낮췄기에 가능했던 일이란 지적이 제기되면서 역시 특혜 논란이 일었습니다.
롯데는 MB정권 5년간 자산은 43조원에서 96조원(현재 103조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고, 계열사는 46개에서 79개(현재 93개)로 크게 늘었습니다.
이같은 특혜 의혹과 관련해 이명박 정권 시절 롯데의 호텔, 면세, 제2롯데월드 사업 등을 총괄한 장경작 전 호텔롯데 대표이사 사장의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장 전 사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고려대 경영학과 61학번 동기로 조선호텔 사장 등을 지낸 뒤 이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이던 2005년 호텔롯데 사장으로 영입됐습니다.
그는 이명박 정권이 출범한 2008년 롯데그룹 호텔부문 총괄사장에 올라 2010년까지 롯데의 당면 현안 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지휘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 때문에 롯데그룹이 장 전 사장을 앞세워 특혜를 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고 야당인 민주당에선 이를 두고 '친구 게이트'라는 비판까지 제기했습니다.
장 전 사장은 이후 현대아산 사장 등을 거쳐 2014년 이 전 대통령이 사재를 출연해 만든 청계재단 감사로도 재직했습니다.
이 전 대통령이 2008년 초 대통령 당선인 시절 즐겨 찾은 롯데호텔과의 인연도 새삼 주목을 받습니다.
이 전 대통령은 당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과 별도로 소공동 롯데호텔을 주요 인사 접견 등에 자주 이용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자주 찾던 롯데호텔 헬스클럽 이발사도 청와대 전속 이발사로 데려갈 정도였습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일본에서 출발한 롯데그룹이 한국에서 고속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도 박정희 정권에서의 특혜 의혹이 있습니다.
창업주 신격호 총괄회장은 1946년 일본에서 껌 회사로 출발해 1967년 국내에 롯데제과를 세우며 사업의 물꼬를 텄습니다.
이후 롯데는 박정희 정부의 적극적인 외자 유치 정책에 따라 파격적인 혜택을 받으며 고속 성장했다는 것이 지배적인 분석입니다. 일본에 뿌리를 둔 롯데는 투자금 일부를 외자로 인정받으면서 법인세 면제 등 혜택을 누렸습니다.
식품에서 출발한 롯데 사업영역은 정부의 전폭적 지원 아래 1970년대 들어 유통, 호텔, 건설, 석유화학 등으로 확대됐습니다.
롯데 관계자는 이명박 정권 시절 특혜 의혹을 빚은 각종 사업들과 관련해 "각 사업 책임자의 경영적 판단으로 이뤄진 사업들이지, 특정 정권과의 특혜 또는 밀월 관계는 사실무근"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mbnreporter01@mbn.co.kr]
롯데그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속도를 내는 가운데 역대 정권과 롯데그룹 간의 긴밀했던 관계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롯데는 국내 최고층(123층) 빌딩인 제2롯데월드 인허가, 면세사업 확대, 맥주 사업 진출 등 이명박 정권 당시 많은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신격호 총괄회장의 숙원사업이던 제2롯데월드 건설은 김영삼 정부 때부터 추진해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서 군 당국의 반대로 번번이 무산되다가 이명박 정부 들어 인허가를 받았습니다.
서울공항 비행안전성 논란 등 사회적으로 많은 우려가 나옴에도 2009년 정부는 서울공항 동편활주로 방향을 3도 변경하는 등 대안을 마련해 제2롯데월드 건축을 허용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제2롯데월드의 용적률과 건폐율도 상향 조정돼 층고는 112층에서 123층으로 오히려 높아졌습니다.
롯데그룹이 면세점 사업을 확대하게 된 배경에도 정권의 특혜 논란이 나옵니다.
2010년 공정거래위원회는 호텔롯데의 AK글로벌 면세점 인수를 독과점 논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조건 없이 승인했습니다.
당시 시내 면세점 기준 롯데의 시장 점유율은 52.3%(소공점·잠실점 합산), AK는 4.7%로 점유율 합계가 57.0%가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인천공항 면세점의 경우 롯데 점유율이 37.2%로 2위, AK는 13.9%로 3위여서 결합 후 점유율이 51.1%가 돼 당시 1위인 신라(38.3%)를 제치고 롯데가 1위 사업자가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롯데는 2012년 3월 국세청으로부터 주류 제조업 허가를 받고 맥주 제조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정부가 그 직전인 2011년 맥주 제조 면허를 위한 저장시설 기준을 1850㎘에서 100㎘ 이상으로 완화해 진입 장벽을 낮췄기에 가능했던 일이란 지적이 제기되면서 역시 특혜 논란이 일었습니다.
롯데는 MB정권 5년간 자산은 43조원에서 96조원(현재 103조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고, 계열사는 46개에서 79개(현재 93개)로 크게 늘었습니다.
이같은 특혜 의혹과 관련해 이명박 정권 시절 롯데의 호텔, 면세, 제2롯데월드 사업 등을 총괄한 장경작 전 호텔롯데 대표이사 사장의 역할이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장 전 사장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고려대 경영학과 61학번 동기로 조선호텔 사장 등을 지낸 뒤 이 전 대통령이 서울시장이던 2005년 호텔롯데 사장으로 영입됐습니다.
그는 이명박 정권이 출범한 2008년 롯데그룹 호텔부문 총괄사장에 올라 2010년까지 롯데의 당면 현안 사업들을 성공적으로 지휘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이 때문에 롯데그룹이 장 전 사장을 앞세워 특혜를 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고 야당인 민주당에선 이를 두고 '친구 게이트'라는 비판까지 제기했습니다.
장 전 사장은 이후 현대아산 사장 등을 거쳐 2014년 이 전 대통령이 사재를 출연해 만든 청계재단 감사로도 재직했습니다.
이 전 대통령이 2008년 초 대통령 당선인 시절 즐겨 찾은 롯데호텔과의 인연도 새삼 주목을 받습니다.
이 전 대통령은 당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과 별도로 소공동 롯데호텔을 주요 인사 접견 등에 자주 이용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자주 찾던 롯데호텔 헬스클럽 이발사도 청와대 전속 이발사로 데려갈 정도였습니다.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일본에서 출발한 롯데그룹이 한국에서 고속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도 박정희 정권에서의 특혜 의혹이 있습니다.
창업주 신격호 총괄회장은 1946년 일본에서 껌 회사로 출발해 1967년 국내에 롯데제과를 세우며 사업의 물꼬를 텄습니다.
이후 롯데는 박정희 정부의 적극적인 외자 유치 정책에 따라 파격적인 혜택을 받으며 고속 성장했다는 것이 지배적인 분석입니다. 일본에 뿌리를 둔 롯데는 투자금 일부를 외자로 인정받으면서 법인세 면제 등 혜택을 누렸습니다.
식품에서 출발한 롯데 사업영역은 정부의 전폭적 지원 아래 1970년대 들어 유통, 호텔, 건설, 석유화학 등으로 확대됐습니다.
롯데 관계자는 이명박 정권 시절 특혜 의혹을 빚은 각종 사업들과 관련해 "각 사업 책임자의 경영적 판단으로 이뤄진 사업들이지, 특정 정권과의 특혜 또는 밀월 관계는 사실무근"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