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민족의 명절인 설날을 하루 앞둔 7일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를 강행했다.
지난달 6일 4차 핵실험에 이어 한 달 만에 국제사회를 상대로 대형 도발을 감행한 것으로, 한반도 위기 수준을 급격히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날 “북한이 오늘 오전 9시 30분께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미사일 발사장에서 장거리 미사일 1발을 발사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탐지·추적 임무를 맡은 우리 군의 이지스함 세종대왕함과 그린파인 레이더, 공중조기경보통제기 피스아이는 9시 31분께 거의 동시에 미사일 발사를 탐지했고 세종대왕함은 가장 먼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임을 식별했다.북한이 쏜 장거리 미사일은 9시 32분께 1단 추진체가 분리됐고 이 추진체는 공중에서 270여개의 파편으로 폭발돼 서해상으로 떨어졌다.
이어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은 9시 36분께 동창리 발사장 남쪽 790km 지점 380여km 상공에서 페어링(덮개) 분리와 함께 우리 군 레이더망에서 벗어났다.
북한은 이날 낮 12시 30분(평양 시간 12시 정각) 중대 발표를 통해 이번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직접적인 지도’로 진행됐다며 “지구관측위성 광명성 4호를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완전 성공했다”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한미 양국의 1차 평가 결과) 북한의 발사체가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성공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는 “발사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는 추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인공위성 발사라고 주장하지만 국제사회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긴급대응체제에 들어갔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직후 청와대에서 긴급 소집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용납할 수 없는 도발행위”로 규정하고 “(유엔) 안보리에서 하루 속히 강력한 제재 조치를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미 양국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동맹 차원의 공동 대응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이 자리에서 “북한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 한 생존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북한의 일련의 전략적인 도발에 대해 한미가 동맹정신에 입각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제사회도 북한의 잇단 대형 도발에 대응해 대북 제재를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미일 3국은 이날 공동으로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요청했다.이에 따라 안보리는 현지시간으로 7일 오전 11시(한국시간 8일 오전 1시) 긴급회의를 열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일은 북한의 이번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계기로 강도 높은 제재 드라이브에 나설 예정이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이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 이후 NSC를 소집하고 “일본의 독자 대북 제재를 신속하게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6일 미사일 발사 예고 기간을 기존 8∼25일에서 7∼14일로 갑자기 변경해 7일 미사일을 쏠 것이라는 관측을 낳았다. 동창리 발사장 지역은 이날 맑고 바람도 잔잔해 장거리 미사일 발사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날씨인 것으로 분석됐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