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발언 공방…서청원 최고위 “권력자 이미지를 손상 시킨다”
김무성 발언 공방에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들고 일어섰다.
일명 '국회선진화법'의 입법에 당시 '권력자'이던 박근혜 대통령의 찬성이 영향을 미쳤다는 취지의 김 대표 발언에 공식 대응을 자제해온 친박(친박근혜)계가 지난 28일 김 대표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나섰다.
친박의 맏형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을 비롯해 김태호·이인제 최고위원 등 친박계 지도부가 직접 나서 김 대표의 면전에서 집중포화를 퍼부었다.
서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여당인 새누리당의 권력자는 김무성 대표 아니냐"면서 "왜 이런 권력자 발언을 해서 분란을 일으키느냐"고 비판했다.
서 최고위원은 또 김 대표가 한 일간지 인터뷰에서 친박계를 겨냥해 "권력 주변 수준 낮은 사람들은 완장을 차고 권력자 이미지를 손상시킨다"고 주장한 데 대해 "지금 김무성 대표 주변에도 '김무성 대권'을 위해 완장을 찬 사람들이 매일 별의별 짓을 다 하고 있지 않느냐"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인제 최고위원도 "당시 폭력 국회에 대한 저항과 반동으로 일어난 일에 대한 잘못이 누구에게 있고, 누구에게 없다고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느냐"면서 "과거를 자꾸 현재 기준에 맞춰 자기 편리한대로 거론하는 것은 오히려 당내 민주주의와 의회 민주주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가세했다.
친박계는 또 김 대표가 공식적으로 당의 최고 '권력자' 위치에 있음에도 자신이 마치 권력자가 아니라 '권력의 피해자'인 것 같은 화법을 평소 자주 사용하는 것은 당의 지도부로서 부적절한 태도라고 지적했다.
한 친박계 의원은 모 매체와의 통화에서 "지금 당의 권력자는 김무성 대표인데, 김 대표가 이런 식으로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는 것은 비겁한 태도"라면서 "대권 주자가 되겠다는 정치인이 그런 식으로 소인배 같은 '꼼수 정치'를 하면 되겠느냐"고 주장했다.
서 최고위원은 "김 대표가 모든 인사권을 갖고 당내 모든 회의에 참석하고 대권 후보 반열에 올랐는데, 이 이상의 권력자가 어디 있느냐"면서 "평당원이 권력자라는 말을 쓰면 모르겠지만 김 대표는 다시는 권력자라는 말로 당에 분란을 일으키지 않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말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새누리당이 코미디를 보는 것처럼 희화화되고 있다. 누가 진짜 권력자인지 (묻는) 수수께끼를 하고 있다"면서 "집권 여당이 왜 이렇게 정제되지 못하고 투박한가"라고 비판했다.
또 "국정을 책임지는 상황에서 한 마디 한 마디가 시장과 사회에 영향을 주는데 (여당의 모습이) 왜 이런 모습으로 거칠게 나타나고 있느냐"면서 "우리가 오만에 빠진 게 아니냐"라고 자성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여권 주류인 친박계에서는 김 대표의 이 같은 행보가 어느 정도는 의도된 것이라고 보고 있다.
공천 지분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의 핵심 열쇠인 공천 룰과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을 놓고 친박계와 신경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김 대표의 발언은 '권력자=친박계, 피해자=비박계'라는 프레임을 만들어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계산일 것이라는 게 친박계의 시각이다.
다만 친박계는 김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해 '권력자' 발언을 한 것은 실수일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다시 말해 김 대표 본인의 트레이드 마크로 삼은 상향식 공천제가 '공천권을 권력자의 손에서 빼앗아 국민에게 돌려주는 제도'라는 구도를 계속 무리하게 설파하려다 보니 마음속에 숨겨놓은 '진심'을 자신도 모르게 발설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실제로 김 대표는 재작년 7·14 전당대회 때부터 완전 상향식 공천을 추구하는 배경을 설명하면서 '권력자'라는 단어를 즐겨 사용해왔다.
지난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김 대표는 "앞으로 공천 과정에 소수 권력자와 계파의 영향력이 전혀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고, 27일 '2030 공천 설명회'에서는 "과거에는 공천권이 당의 소수 권력자에 의해 밀실에서 좌지우지돼왔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청와대는 공식적으로는 여전히 침묵을 지켰으며,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일일이 대꾸하지 않겠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김무성 발언 공방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
김무성 발언 공방에 친박(친박근혜)계 의원들이 들고 일어섰다.
일명 '국회선진화법'의 입법에 당시 '권력자'이던 박근혜 대통령의 찬성이 영향을 미쳤다는 취지의 김 대표 발언에 공식 대응을 자제해온 친박(친박근혜)계가 지난 28일 김 대표를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나섰다.
친박의 맏형격인 서청원 최고위원을 비롯해 김태호·이인제 최고위원 등 친박계 지도부가 직접 나서 김 대표의 면전에서 집중포화를 퍼부었다.
서 최고위원은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여당인 새누리당의 권력자는 김무성 대표 아니냐"면서 "왜 이런 권력자 발언을 해서 분란을 일으키느냐"고 비판했다.
서 최고위원은 또 김 대표가 한 일간지 인터뷰에서 친박계를 겨냥해 "권력 주변 수준 낮은 사람들은 완장을 차고 권력자 이미지를 손상시킨다"고 주장한 데 대해 "지금 김무성 대표 주변에도 '김무성 대권'을 위해 완장을 찬 사람들이 매일 별의별 짓을 다 하고 있지 않느냐"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인제 최고위원도 "당시 폭력 국회에 대한 저항과 반동으로 일어난 일에 대한 잘못이 누구에게 있고, 누구에게 없다고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느냐"면서 "과거를 자꾸 현재 기준에 맞춰 자기 편리한대로 거론하는 것은 오히려 당내 민주주의와 의회 민주주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가세했다.
친박계는 또 김 대표가 공식적으로 당의 최고 '권력자' 위치에 있음에도 자신이 마치 권력자가 아니라 '권력의 피해자'인 것 같은 화법을 평소 자주 사용하는 것은 당의 지도부로서 부적절한 태도라고 지적했다.
한 친박계 의원은 모 매체와의 통화에서 "지금 당의 권력자는 김무성 대표인데, 김 대표가 이런 식으로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는 것은 비겁한 태도"라면서 "대권 주자가 되겠다는 정치인이 그런 식으로 소인배 같은 '꼼수 정치'를 하면 되겠느냐"고 주장했다.
서 최고위원은 "김 대표가 모든 인사권을 갖고 당내 모든 회의에 참석하고 대권 후보 반열에 올랐는데, 이 이상의 권력자가 어디 있느냐"면서 "평당원이 권력자라는 말을 쓰면 모르겠지만 김 대표는 다시는 권력자라는 말로 당에 분란을 일으키지 않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말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새누리당이 코미디를 보는 것처럼 희화화되고 있다. 누가 진짜 권력자인지 (묻는) 수수께끼를 하고 있다"면서 "집권 여당이 왜 이렇게 정제되지 못하고 투박한가"라고 비판했다.
또 "국정을 책임지는 상황에서 한 마디 한 마디가 시장과 사회에 영향을 주는데 (여당의 모습이) 왜 이런 모습으로 거칠게 나타나고 있느냐"면서 "우리가 오만에 빠진 게 아니냐"라고 자성의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여권 주류인 친박계에서는 김 대표의 이 같은 행보가 어느 정도는 의도된 것이라고 보고 있다.
공천 지분을 얼마나 확보하느냐의 핵심 열쇠인 공천 룰과 공천관리위원회 구성을 놓고 친박계와 신경전을 벌이는 과정에서 김 대표의 발언은 '권력자=친박계, 피해자=비박계'라는 프레임을 만들어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계산일 것이라는 게 친박계의 시각이다.
다만 친박계는 김 대표가 박근혜 대통령을 겨냥해 '권력자' 발언을 한 것은 실수일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다시 말해 김 대표 본인의 트레이드 마크로 삼은 상향식 공천제가 '공천권을 권력자의 손에서 빼앗아 국민에게 돌려주는 제도'라는 구도를 계속 무리하게 설파하려다 보니 마음속에 숨겨놓은 '진심'을 자신도 모르게 발설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실제로 김 대표는 재작년 7·14 전당대회 때부터 완전 상향식 공천을 추구하는 배경을 설명하면서 '권력자'라는 단어를 즐겨 사용해왔다.
지난 18일 신년 기자회견에서도 김 대표는 "앞으로 공천 과정에 소수 권력자와 계파의 영향력이 전혀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공언한 바 있고, 27일 '2030 공천 설명회'에서는 "과거에는 공천권이 당의 소수 권력자에 의해 밀실에서 좌지우지돼왔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한편 청와대는 공식적으로는 여전히 침묵을 지켰으며,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김 대표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일일이 대꾸하지 않겠다"며 언급을 자제했다.
김무성 발언 공방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