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건설 입지를 두고 신경전을 벌이는 영남권 단체장들이 정부의 신공항 입지 타당성 조사 결과를 수용하기로 했다.
영남권 시·도지사협의회는 2일 경남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이 내용을 포함한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협의회에는 서병수 부산시장, 권영진 대구시장, 김기현 울산시장, 김관용 경북지사, 홍준표 경남지사가 참석했다.
영남권 시장과 도지사들은 이날 성명에서 국토교통부의 영남지역 항공수요 조사결과 신공항 건설의 당위성이 입증된 만큼 국가 경쟁력을 위해 신공항이 조기에 건설되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입지 선정 등 모든 절차는 국가 발전과 경제적 논리에 근거해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투명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입지 선정은 정부의 용역 결과를 수용하기로 약속했다.
또 입지 선정에서 제외된 지자체에 대해 대규모 국책사업 등이 지원될 수 있도록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날 영남권 5개 지자체 단체장 합의를 토대로 조만간 국토교통부 장관과 단체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입지 타당성 조사를 공정하게 시행하고 그 결과를 수용하겠다는 것에 최종 합의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따라 신공항 건설을 위한 입지 타당성 조사는 이르면 연내에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는 지난 8월 25일 '영남지역 항공수요조사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어 항공수요 증가에 따라 김해공항이 2023년께 사실상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라는 예측결과가 나왔다면서 영남 신공항의 입지, 규모, 경제성 등을 검증하기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에 들어가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시장과 도지사들은 또 물은 국한된 지역 자원이 아닌 국가 자원이자 공공재라는것에 인식을 같이하고 안전하고 깨끗한 식수를 공급하기 위해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남부내륙철도, 대구 광역권 철도망, 동해 중·남부선 철도, 남해안 고속철도 등영남권 광역 철도망이 이른 시일 안에 구축될 수 있도록 내년도 국비 확보에 힘을 쏟기로 했다.
지역 개발 촉진과 물류비용 절감을 위해 함양∼울산 고속도로, 남해안 고속도로, 언양∼영천 고속도로 확장 등 영남권 도로망 확충에도 내년도 국비 확보 등 전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들은 지방세 현실화를 위해 정부의 지방세제 개편안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다만 담뱃값 인상에 따른 재원은 지방 재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하는 등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이날 공동 성명에 대해 홍준표 경남지사는 "신공항 문제는 지자체 간 과열 경쟁과 정치적 갈등으로 무산된 적이 있다"며 "서로 반목하지 말고 부족한 점을 보충해 주는 공생과 번영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홍 지사는 "국가 자원인 물이 남으면 이웃과 나눠 먹는 것이 당연한 이치"라며 "물 문제도 공존의 차원에서 서로 양보해 청정 1급수를 식수로 공급할 수 있도록 모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국가 전체의 백년대계를 바라보며 산업 재배치와 함께 신공항 선정 문제가 해결됐으면 한다"며 "문제를 한꺼번에 풀기보다는 단계적으로 하나씩 풀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견해를 밝혔다.
서 시장은 "물 문제는 부산 입장에서는 곤혹스럽다. 부산에는 경남에 친척이 살고 고향인 사람이 70%나 된다"며 "부산 사람들도 깨끗한 물을 먹을 수 있도록 경남 도민들이 도와 달라"고 당부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수도권 단일 경제공동체로는 한계에 직면해 선진국의 문턱을 넘어설 수 없다"며 "영남지역 상생 발전을 위해 수도권과 경쟁할 수 있는 남부권경제공동체를 만들어 세계 선진국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 시장은 "특히 신공항 문제는 과거 영남지역 내부 갈등으로 무산된 전철을 다시 밟지 말자고 합의했으며, 가장 민감한 입지 선정에 대해 정부 용역 결과를 수용하기로 한 데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기현 울산시장은 "영남권 공동 발전을 위해 지역 이해에 매몰돼 갈등을 조장해선 안 된다"며 "중앙과 지방의 한계와 장벽을 넘어 대승적으로 지혜를 모으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관용 경북지사는 "신공항 문제는 원칙과 기본을 지켜 객관적으로 풀어야 하며, 서로 배타적인 행태로 다시 무산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영남권 시·도지사협의회는 상생과 공동 번영을 위해 2007년에 구성됐으며 지난해까지 5차례 회의를 열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