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보다 여성이, 연령대별로는 20대가 가장 많아
만성적인 권태감·공허감·자제력 부족
만성적인 권태감·공허감·자제력 부족
오늘(2일) 한국인 1만 명당 1명은 경계성 인격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BPD)를 진단받아 치료 중인 사실이 밝혀지며 해당 성격장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석정호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DB)를 분석했고 위 같은 사실을 발견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분석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대별로는 20대가 가장 많았습니다.
경계선 인격장애란 정서적 불안, 자아정체성 문제, 대인관계 등을 포함해 다양한 증상을 보이는 복합 인격장애입니다.
주로 권태감과 공허감이 만성적으로 나타나며 대개 자제력이 부족해 충동적인 행동을 보입니다.
따라서 도벽과 도박, 약물 남용의 위험성이 높고 대인관계도 불안정합니다.
환자의 약 60~80%는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는 것으로도 보고됩니다.
반면 경계선 인격장애의 국내 발병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으며 이 연구는 국가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국내 경계선 인격장애 유병률을 다룬 첫 연구입니다.
이번 연구에서 국내 경계성 인격장애 진단 환자 수는 2010년 3756명이었으나 2019년 4538명으로 1.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간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은 인구 1만 명당 2010년 0.96명에서 2019년 1.06명으로 올랐습니다.
남성 유병률보다 여성 유병률에 더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남성 유병률은 2010년 0.81명에서 2019년 0.80명이었으나 같은 기간 여성 유병률은 1.12명에서 1.32명으로 증가했습니다.
한편 2019년 기준으로 인구 1만 명당 유병률은 30대 1.39명, 40대 0.70명, 50대 0.38명, 60대 0.28명, 70대 이상 0.24명으로 나이가 많아질수록 점차 낮아졌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만 명당 8.71명으로 유병률이 가장 높았고 대전 6.62명과 대구 5.90명이 뒤를 이었습니다.
석 교수는 "다른 국가의 경계성 인격장애 유병률이 2.7~5.9%인 것에 비해 국내 유병률은 크게 낮은 것으로 보인다"며 "여러 증상이 나타나 진단이 까다로운 질병의 특성과 정신과 방문을 꺼리는 이유 등으로 인해 실제보다 과소평가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연세의학저널(Yonsei Medical Journal)에 게재됐습니다.
[장나영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jangnayoungny@gmail.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