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300대 기업에 속한 사외이사에게 연간 평균 1억원이 넘는 보수를 지급한 곳은 2019년 3곳에서 작년 10곳으로 많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국내 주요 300대 기업의 2019년과 2021년 사외이사 및 상근 감사 보수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300대 기업은 15개 주요 업종별 매출(개별 및 별도 재무제표 기준) 상위 20개 기업씩 총 300개 상장사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지난해 국내 300대 기업에서 활약한 사외이사 인원은 98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987명과 비교하면 비슷한 수준이다.
보수와 관련해 사외이사는 크게 두 그룹으로 분류된다.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와 감사위원을 따로 맡지 않는 일반 사외이사 그룹으로 구분된다. 작년 기준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는 640명으로 전체 사외이사의 65.2%를 차지했다. 2019년(61.1%) 때보다 다소 높은 수치다.
300대 기업에서 활약하는 사외이사 1000여명에게 지급한 작년 한해 연간 보수 총액은 530억원 수준이었다. 사외이사 한 명에게 지급한 산술적인 연간 평균 보수 금액으로 살펴보면 5410만원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2019년 당시 4880만원보다 10.9% 높아진 금액이다.
[사진 제공 = 한국CXO연구소]
이중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들은 작년 한해 1인당 평균 보수가 5633만원으로 감사위원을 따로 맡지 않는 일반 사외이사 평균 5094만원보다는 높았다. 지난 2019년에는 감사위원을 겸하는 사외이사는 5290만원, 일반 사외이사는 4229만원 수준이었다.같은 대기업 사외이사 타이틀을 갖고 있더라도 기업별 급여 수준은 극과 극을 달렸다. 지난해 기준으로 1000명 내외 수준의 사외이사 중 억대 이상 보수를 받은 인원은 비율은 5.6%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연간 보수액이 2000만원 미만인 비율은 6.6% 수준이었다.
특히 2019년 때만 해도 300대 기업 중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1억원을 넘긴 곳은 단 3곳에 불과했다. 여기에 포함됐던 사외이사 인원도 16명으로, 전체 사외이사의 1.6% 수준에 그쳤다. 그러던 것이 2년이 흐른 작년에는 10곳으로 대폭 증가했고, 사외이사 인원도 55명으로 늘었다. 억대 보수를 받는 사외이사가 크게 많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 제공 = 한국CXO연구소]
작년 기준으로 300대 기업의 사외이사 급여를 천만원 단위로 살펴보면 9000만원대 4.9%(이하 2019년 2%), 8000만원대 11%(4.3%), 7000만원대 10.5%(9.6%), 6000만원대 9.4%(13.3%), 5000만원대 10%(12%), 4000만원대 12.5%(16.2%)로 파악됐다. 3000만원대는 16.5%(19.8%)로 가장 많았고, 2000만원대는 13%(12.5%)로 그 다음으로 비율이 높았다.2021년 기준 감사위원과 일반 사외이사의 평균 보수가 가장 높은 기업은 삼성전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 회사는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작년 한해 총 6명의 사외이사에게 9억원 가까운 보수를 지급했다. 산술적인 1인당 평균 급여액은 1억4750만원으로 조사 대상 업체 중 사외이사 보수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사진 제공 = 한국CXO연구소]
이어 SK이노베이션(1억2240만원), SK텔레콤(1억2220만원), SK하이닉스(1억1730만원), 한샘(1억1400만원), 삼성물산(1억1330만원), 네이버(1억580만원), 현대모비스(1억540만원), KT(1억 330만원), 현대자동차(1억250만원) 등도 지난해 기준 사외이사 보수 1억 클럽에 가입했다. 이와 달리 2019년 당시만 해도 사외이사 평균 보수가 2억 원에 근접하며 최고 수준을 보였던 엔씨소프트는 작년에는 8000만원대 수준으로 크게 낮아졌다.사외이사를 세분화해 감사위원을 겸하지 않는 일반 사외이사 평균 보수로 살펴보면 삼성물산이 최고 수준을 보였다. 이 회사는 작년에 3명의 일반 사외이사에게 4억3000만원 정도를 보수로 지급해 1인당 평균 급여액이 2억700만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 대상 기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2억원대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연구소장은 "사외이사에게 지급하는 보수 수준은 업종과 기업 규모 등에 따라 편차가 크다"며 "특히 최근에는 장차관급 이상을 지낸 거물급을 비롯해 판검사와 정부 부처에서 요직을 역임한 무게감 있는 인사들이 대기업 사외이사로 진출하는 경향이 높아 그에 준하는 급여 대우 등을 책정하다 보니 이들의 보수 수준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김승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