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성경화증은 주로 20~40세에서 많이 발생하고 남성보다 여성에서 2배 이상 발생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전 질환은 아니지만 가족 중 환자가 있는 경우 더욱 많이 발생하는 편이며 주로 북유럽, 북미, 호주에 환자들이 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에서는 드문 질환이지만 최근 들어 환자 발병률이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다발성경화증은 중추신경계(대뇌, 소뇌, 척수 및 시신경)의 여러 부위에서 신경세포의 절연체인 축삭 염증이 수시로 재발하는 질환(탈수초성 질환)으로 팔다리의 힘 빠짐, 감각 이상, 시력장애, 대소변장애 등 다양한 증상들이 발현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
다발성경화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면역체계의 이상 기능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많은 환자들이 초기에는 시각을 담당하는 신경인 시신경 혹은 척수(등골)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시신경염은 주로 한쪽 눈의 통증과 함께 눈앞이 뿌옇게 흐려져 보이는 시각장애(중심시야 장애, 시각감퇴, 색감 장애 등)를 주 증상으로 하며, 심한 경우에는 실명까지 일으킬 수 있다.
척수염은 염증이 발현된 척수 부위에 따라 양다리 혹은 양팔까지 침범한 운동마비나 감각이상, 배뇨/배변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허리 혹은 목 디스크와 같은 척추질환으로 오진하고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도 있다. 특히 20~40세의 젊은 연령대에 발생하는 갑작스런 안구 통증이 동반된 시력장애 혹은 양다리나 팔의 감각장애와 근력저하가 발생한다면 반드시 다발성경화증의 전조증상이라고 할 수 있는 시신경염과 척수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그 밖에도 침범하는 중추신경계의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는데 여러 가지 다른 뇌질환에서 볼 수 있는 증상들이 뇌의 각 부분의 기능에 따라 다양하게(물체가 이중으로 보임, 어지럼증, 팔이나 다리에 힘 빠짐, 언어장애, 판단력 장애, 기억력 장애 등) 발생할 수 있어서 초기에는 뇌졸중, 치매, 파킨슨 병, 심지어는 뇌종양 등으로 오진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다발성경화증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하며 필수적인 검사는 MRI(자기공명영상)이다. 증상에 맞추어 의심되는 부위의 촬영을 우선적으로 하지만, 증상이 없다 하더라도 염증반응이 있을 수 있어 뇌 뿐만 아니라 척수 전체를 검사하는 것이 좋다. 또 한가지 중요한 검사는 뇌척수액 검사로서 허리부위에서 가는 바늘을 가지고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뇌척수액을 뽑아내어 신경계 염증이 어떤 형태인지, 신경 수초를 손상시키는 다른 원인들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이 뇌척수액 검사는 다발성경화증과 혼동될 수 있는 중증 감염성 질환 및 자가면역질환들과 감별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검사이다. 그 외 검사로 뇌유발전위 검사를 들 수 있는데 시신경이나 척수 병변이 과거에 가볍게 앓고 지나갔거나 혹은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발병 후 회복되었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객관적인 검사를 통해 이러한 부위에 손상의 흔적이 있는 지를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도 확진이 되지않고 다발성경화증 의증으로 남는 경우들이 있는데 이 경우는 오랜 기간 병의 경과 과정을 담당주치의와 상의하며 주의 깊게 관찰을 해야만 적절한 진단이 가능하다.
다발성경화증은 완치가 불가능한 질환이지만 재발 빈도나 정도를 낮춰 최대한 장애가 남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법을 사용하고 있다. 주로 급성기 치료에는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사용해 염증반응을 억제시키고, 급성기 치료 이후에는 재발 빈도를 줄이기 위한 인터페론 주사 요법을 시행한다. 질병 초기부터 재발을 줄일 수 있는 치료를 하는 것이 향후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 정도를 현저히 낮출 수 있는 방법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많은 연구 발표가 있은 뒤부터, 이 질병에 대한 관심은 어떻게 하면 초기에 진단하느냐에 맞춰져 있다.
이와 더불어 지난 최근 10여년간 재발예방을 위한 많은 약제들이 출시되어 약제 선택의 폭도 점점 넓어지고 있어 다발성경화증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 새로운 지평이 열리고 있다.
고려대교 안산병원 신경과 이형수 교수는 "다발성경화증을 앓고 있는 많은 환자분들이 비록 완치는 안 되더라도, 일상생활에서 큰 문제 없이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라며 "조기에 발견해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자연적으로 증상이 완화됐다고 해도 완치가 아니기 때문에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