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폭등에 위기감을 느낀 청년들이 패닉바잉에 뛰어들면서 전체 가계대출에서 30대 이하 차주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됐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안타깝다"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주택구입) 주택구입자에 탄식을 보냈지만 집값 상승에 대한 이들의 불안감을 억누르기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2일 윤두현 국회 정무위원회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체 가계대출에서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24.8%에서 올해 2분기 26%로 1.2%포인트 확대됐다.
30대 이하의 가계대출 비중이 증가한 것은 치솟는 집값에 공포를 느낀 30대가 최대한 대출을 당겨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한국감정원 자료를 보면 8월 서울 아파트 거래 6880건의 36.9%인 2541건을 30대가 매입했다. 전월에 이어 2달 연속 사상 최대 비중을 경신했다.
같은 기간 전체 가계대출에서 40대 대출의 비중은 30.4%에서 28.7%로, 50대는 28.1%에서 26.6%로 축소됐다. 60대 이상은 고령화로 노인인구 비중이 급등하며 16.6%에서 18.6%로 증가했다.
청년층의 주택 패닉바잉으로 은행권 대출에서 30대 이하 차주들의 비중이 늘었지만 비은행권 대출에서는 40~60대 이상의 비중이 늘어 중장년층과 고령층의 대출 위험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은행권 대출에서 30대 이하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27.7%에서 올해 2분기 30.6%로 증가했고 비은행권 대출에서는 21%에서 19.9%로 감소했다. 반면 60대 이상 차주의 경우 전체 은행권 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7%에서 14.4%로 소폭 늘었으나 비은행권 대출에서는 20.4%에서 24.8%로 4.4%포인트 확대된 것으로 드러났다.
40대와 50대의 경우 저축은행과 대부업에서의 대출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 가계대출에서 40대 차지하는 비중은 31.2%에서 32.9%로, 50대는 20.9%에서 23.4%로 증가했다. 대부업에서는 40대가 33.9%에서 35.6%로, 50대는 19.8%에서 25.7%로 확대됐다.
윤 의원은 "가계 부채 총량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령대별로 대출 증가 요인과 위험 정도가 다른 만큼 맞춤형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형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