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이번달 1일부터 10일까지 우리나라 수출액은 123억 달러로, 1년전 보다 20% 이상 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얼어붙은 수출이 다시 회복하는 반가운 신호일까요.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6월들어 10일까지 지난해는 조업일수가 6일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8일로 이틀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조업일수 증가효과를 뺀 하루평균 수출액으로 보면 오히려 10% 가까이 줄어듭니다.
이미 지난 4월과 5월 수출이 각각 25%와 23%가 감소했는데, 6월들어서도 좋지못한 출발을 보인 겁니다.
품목별로 보면 의약품 수출액이 대폭 증가한 건 반가운 소식이지만, 주력 산업인 석유제품과 자동차 등이 여전히 큰폭으로 줄었습니다.
한편, 코로나로 인해 얼어붙은 건 무역뿐만이 아니었습니다.
5만 원권 지폐 순환도 경색된건데, 급기야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공급중단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어떤 이유인지 김문영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이번달 1일부터 10일까지 우리나라 수출액은 123억 달러로, 1년전 보다 20% 이상 늘었습니다.
코로나19로 얼어붙은 수출이 다시 회복하는 반가운 신호일까요.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습니다.
6월들어 10일까지 지난해는 조업일수가 6일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8일로 이틀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조업일수 증가효과를 뺀 하루평균 수출액으로 보면 오히려 10% 가까이 줄어듭니다.
이미 지난 4월과 5월 수출이 각각 25%와 23%가 감소했는데, 6월들어서도 좋지못한 출발을 보인 겁니다.
품목별로 보면 의약품 수출액이 대폭 증가한 건 반가운 소식이지만, 주력 산업인 석유제품과 자동차 등이 여전히 큰폭으로 줄었습니다.
한편, 코로나로 인해 얼어붙은 건 무역뿐만이 아니었습니다.
5만 원권 지폐 순환도 경색된건데, 급기야 한국은행이 시중은행에 공급중단 공문을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어떤 이유인지 김문영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