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겨울철에는 위식도 역류질환을 겪는 사람이 늘어난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통계정보에 따르면 지난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위식도 역류질환 진료환자를 월별로 분류했을 때 12월은 평균 74만 4,777명으로 가장 많다. 또한 11월, 12월, 1월의 환자 평균은 66만 6,524명으로 2~10월 환자 평균 56만 5,517명에 비해 18%나 많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크게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과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나뉜다. 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이란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역류성 식도염으로, 식도 점막이 헐거나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식도 손상을 동반하지 않은 경우는 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이라 부른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위와 식도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식도괄약근에 문제가 생겼을 때 주로 발생한다. 식도 괄약근은 평소에는 닫혀 있다가 음식을 먹거나 트림을 할 때에만 열리는 것이 정상이다. 그런데 이 괄약근에 문제가 생겨 조이는 힘이 느슨해지면 이미 식도를 거쳐 위 속으로 들어가 있던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역류하게 되는 것이다. 마치 댐에 있는 수문이 고장나면 물이 새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위 속 내용물, 즉 위산 등이 식도로 역류하게 되기 때문에 여러 증상이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것이 가슴쓰림이다. 목에 무언가 걸려있는 느낌이 나기도 하고, 가끔 위산이나 위속 음식이 입까지 거꾸로 흘러 쓴 맛이 느껴지기도 한다. 식사 후에 속이 쓰리는 경우도 있다.
전문의들은 서구식 식생활 습관과 비만이 위식도 역류질환과 연관이 깊다고 설명한다. 비에비스 나무병원 홍성수 병원장은 "위식도 역류질환은 식도괄약근이 약해진 경우 주로 발생하는데, 동물성 지방이 가득한 고지방식은 식도 괄약근을 느슨하게 하는 대표적인 물질"이라며 "알코올도 식도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며 흡연·커피·탄산음료 역시 마찬가지다"라고 설명했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식도 괄약근에 문제가 생긴 경우 뿐만 아니라 위산 과다 때문에 생기기도 한다. 위산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경우 역류 기회 역시 증가한다. 예를 들어 과식이나 폭식을 하면 위 속 내용물의 양이 늘어나 위산 분비가 증가될 뿐 아니라 음식물이 위에서 장으로 배출되는 시간이 길어져 식도로 역류되기 쉬운 환경을 만드는 셈이다. 알코올이나 커피 역시 위액 분비를 촉진시키고, 위액의 양 증가는 바로 위액 속 위산 증가로 이어져 역류의 기회를 제공한다.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현상이 지속되면 위식도 역류질환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다. 위산이 식도를 지나 기도까지 넘어가면 만성 기침이 생기거나 목이 쉴 수 있고, 후두염, 천식 등이 유발되기도 한다.
식도가 오랜 시간 위산에 노출되면 식도와 위 경계부위에서 식도조직이 위조직처럼 변하는 바렛식도가 발생할 수 있다. 바렛식도는 식도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자칫하면 위식도 역류질환이 식도암으로 발전할 수 있는 셈이다. 따라서 증상이 생기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검사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위식도 역류질환은 주로 내시경 검사를 통해서 진단하며, 위식도 역류질환으로 진단되면 위산 분비를 억제하거나 위식도 운동촉진제를 사용해서 치료한다. 약물을 끊으면 증상이 자주 재발하는데, 수년 이상 약물을 계속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하기도 한다. 증상이 심하거나 식도 협착, 바렛식도 등의 합병증을 동반한 경우에도 식도확장술이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위식도 역류질환을 예방하려면 위액을 포함한 위 속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비에비스 나무병원 홍성수 병원장은 "위 속 내용물이 역류가 잘되는 것은 식도 괄약근이 약해진 경우, 위 속 내용물의 양이 많은 경우, 위 내용물이 위식도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경우, 위에 제공되는 복압이 높아지는 경우 등이며,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일상생활의 조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먼저 고지방 식품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 동물성 지방이 가득한 고지방식은 식도와 위 사이의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 뿐 아니라, 위산 분비를 촉진하고, 위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 역류 기회를 제공하는 셈이 되므로 적당히 먹는 것이 좋다. 흡연 역시 식도 괄약근을 약화시키므로 피해야 한다.
과식 역시 좋지 않다. 과식을 하면 위 속 내용물의 양이 늘어나 위산 분비가 증가될 뿐 아니라 음식물이 위에서 장으로 배출되는 시간이 길어져 식도로 역류되기 쉬운 환경을 만든다. 알코올, 커피 등도 자제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음식들은 위액 분비를 촉진시키고 위액의 양 증가는 바로 위액 속 위산의 증가로 이어져 역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음식을 먹고 바로 눕거나 구부린 자세를 취하면 위 속 내용물이 위식도 연결부위에 위치하게 되므로, 식후 바로 눕는 행동이나 취침 전 야식을 먹는 습관을 피해야 한다. 취침시 상체 부위를 약간 높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환자용 침대가 아닌 일반 침대에서 상체를 높이고 자는 것이 쉽지 않지만 베개나 쿠션, 이불 등을 이용하면 도움이 된다.
복부 비만인 경우, 복부 지방이 복압을 높여 위 속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 복압을 낮추기 위해 체중을 줄이고, 허리띠를 꽉 졸라맨다든지 꽉 끼는 바지를 입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 도움말 = 비에비스 나무병원 홍성수 병원장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