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8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오피스텔을 제외한 '주택 이외 거처' 거주 가구(집단시설·외국인 가구 포함)는 전년보다 2만6천793가구(5.6%) 늘어난 50만6천250가구였습니다.
통계청은 가구의 거처를 '주택'과 '주택 이외 거처'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때 주택 이외 거처는 오피스텔, 호텔·여관 등 숙박업소, 기숙사 등 특수 사회시설, 판잣집·비닐하우스, 기타 등으로 나뉩니다. 기타에는 음식점 등 상가에서 먹고 자는 영세 자영업자도 포함됩니다.
오피스텔을 제외하면 모든 '주택 이외 거처'는 사실상 제대로 된 집이 없이 생활하는 주거 취약가구인 셈입니다.
지난해 주택에 사는 가구는 1천922만 가구로 전년보다 24만1천 가구(1.3%) 늘었습니다.
증가 속도를 비교하면 주거 취약가구(5.6%)가 주택 거주 가구보다 4배 이상 빠릅니다.
서울 지역은 주거 취약가구의 증가세가 더 두드러졌습니다.
서울 지역에서 오피스텔을 제외한 주택 이외 거처에 사는 가구는 지난해 9만4천191가구로 전년보다 5천157가구(5.8%) 늘었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서울 주택에 사는 가구는 0.1%(4천52가구) '찔끔'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주거 취약가구가 6% 가까이 늘어나는 동안 주택에 사는 가구는 사실상 제자리걸음 한 것입니다.
주거 환경의 악화는 최근 수년간 계속되고 있는 집값 상승세와 적지 않은 관련이 있다는 분석입니다.
집값이 개인 소득이 오르는 것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상승한 탓에 일시적으로 아예 집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최근 여관이나 고시원 등에서 생활하는 청년 1인 가구가 늘어나고 있는 점도 주거 취약가구의 빠른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최승섭 부동산감시팀 부장은 "집값이 오르면서 1인 가구 등이 제대로 된 집을 갖지 못한 주거 취약가구로 밀려나고 있다"며 "특히 청년 1인 가구는 고시원 등에서 생활하는 가구가 많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