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벌어진 가운데, 정부가 쓰레기 량을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모델을 만들기로 했다.
1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는 '2018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정립사업'을 확정하고, 쓰레기 감소, 주차난 완화 등 10대 과제를 설정했다. 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이란 2016년부터 시행된 정부 사업으로, 지금까지 CCTV 사각지대 발굴 등의 역할을 해왔다. 김일재 행정안전부 정부혁신조직실장은 "오는 5월 4일까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공모를 받아 주관기간을 선정한 후, 5월 중 사업을 발주해 연내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10대 과제 중 가장 주목을 끄는 것은 쓰레기 감소 분석모델 개발이다. 세계 플라스틱 쓰레기와 폐지의 절반을 수입해 처리한 중국이 환경문제로 인해 쓰레기 수입을 중단하자, 국내 수거업체들이 돈 안되는 폐비늘 등의 수거를 거부하면서 최근 쓰레기 대란이 발생한 바 있다. 하지만 앞으로 지역별 쓰레기 현황을 빅데이터로 정리하면, 이를 기반으로 지자체가 맞춤형 쓰레기 감소대책을 내놓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정부는 데이터 기반 주차난 완화방안, 데이터를 활용한 공공도서관 운영활성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설치 입지 선정 등에도 빅데이터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