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말 빠진 금호타이어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시한폭탄이 켜졌다.
정부가 8일 '퍼주기식' 지원 근절을 선언하며 성동조선 법정관리 신청을 결정했지만 금호타이어 노조는 9일 임금 감축 등에 반발하며 파업에 나서는 등 '치킨게임'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노조는 이날 광주·곡성공장에서 4시간씩 부분 파업을 실시하며 KDB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추진 중인 해외 업체(더블스타) 매각에 반대했다. 오는 15일에는 총파업도 예고했다. 노조는 "자구안을 공식 폐기하고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해외매각을 반드시 막아내겠다"고 밝혔다.
이를 바라보는 시선은 싸늘하다. 타이어 업계 관계자는 "채권단과 사측이 할 수 있는 건 다했다고 본다"며 "고비용 구조 기득권에 익숙해진 노조가 회사가 회생할 수 있는 유일한 카드인 제3자 매각을 거부하면 법정관리 밖에는 길이 없다"고 말했다.
회사 '명줄'을 쥔 KDB산업은행·금호타이어 수장은 이미 더 이상 지원에 나설 여력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은 "채권 유예가 끝나고 유동성이 고갈되면 법원 절차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고 김종호 금호타이어 회장도 "3월 말까지 자구안 마련에 실패해 채무 변제가 안될 경우 불가피하게 법정관리를 신청할 수 밖에 없다"고 선을 그었다.
노조는 광주 지역 일자리 타격을 외치고 있지만 정부 원칙론을 흔들지는 못할 전망이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구조조정 기준에 지역 경제를 고려한다는 기준을 새로 덧붙였지만 첫 번째 구조조정 시험대인 성동조선에서 '밑 빠진 독에 혈세를 계속 부을 수 없다'는 원칙론을 지켰다. 금호타이어 구조조정에서도 마찬가지 원칙이 적용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재 금호타이어는 채권단은 1조 3000억원 규모 채권을 1년 연장하는 조건으로 임금 30% 감축을 골자로 한자구안 합의를 요구했지만 노조는 이를 거부하고 있다. 채권단은 이달 말까지 노사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회사 존속이 어렵다고 보고 채권 만기 연장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곧 법정관리를 뜻한다. 금호타이어가 이미 동원 가능한 현금이 바닥났고 영업적자 상태에 빠져 채권을 상환할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금호타이어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청산될 가능성이 크다. 금호타이어는 판매 부진과 고비용 구조 등이 누적되며 계속기업가치가 4600억원으로 청산가치(1조원)의 절반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경영 상태가 망가졌다.
[김정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