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국내 민간기업 중 처음으로 실용위성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이를 시작으로 향후 '민간 우주개발 시대'를 열겠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경남 사천 KAI본사에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연구재단, KAI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에 차세대중형위성 2호기 개발사업 착수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차세대중형위성 2호기는 KAI가 주관기관이 되어 위성 시스템 및 본체 개발, 위성조립, 시험 등을 수행하게 된다. 올해 개발을 시작해 2020년 완료 뒤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실용급 위성개발을 정부출연연구원이 아닌 민간기업이 주관하는 것은 국내에서 이번이 처음이다. 차세대중형위성은 500kg급 위성 본체와 지구를 관찰할 수 있는 광학탑재체가 장착된다. 2020년까지 중형위성 두기를 독자기술로 확보하고 국토관리 및 재난·재해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주관으로 개발 중이며 2019년 발사가 예정되어 있다.
정부는 민간 우주개발 시대를 위해 항우연이 차세대중형위성 1호를 개발하며 확보한 시스템·본체 기술을 2016년 KAI에 이전했으며 2호기 개발시 감리, 기술 자문, 탑재체 개발 등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과기정통부는 산업계에 위성개발 기술을 체계적으로 이전하여 민간이 중형급 실용위성의 자체제작 능력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위성개발 역량을 극대화하고 민간의 해외 수출경험 및 마케팅 능력과 연계해 수출 산업화까지 도모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일론 머스크가 스페이스X가 발사체 발사에 성공하고 블루오리진, 로켓랩과 같은 민간기업이 잇따라 우주개발 사업 계획을 내놓으면서 항공우주 시장의 판도가 바뀌고 있다. 그동안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같은 정부기관이 주도하던 우주개발 사업이 민간으로 이양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정부도 지난 5일 제14회 국가우주위원회를 개최하면서 2022년까지 진행되는 한국형발사체 사업으로 발사체 기술을 확보한 뒤 이를 민간에 이전해 민간우주개발시대를 도모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2026년부터는 민간 발사서비스를 시작하고 2030년부터는 모든 중·소형 위성 발사서비스를 민간 주도로 제공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비해 우주개발을 늦게 시작해서 그간 정부출연연구원 중심으로 우주개발을 추진해왔다"며 "이번 착수회의를 계기로 민간이 주도하는 실용급 위성개발 시대가 개막하게 되었으며, 향후 정부는 우주개발 민간 생태계 조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일자리와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