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수출↓·대미 수출↑…한중 분업체계 변화·미 중심 공급망 재편
지난해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가 21년 만에 최소치를 기록했습니다.오늘(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대중 수출은 2023년보다 6.6% 늘어난 1,330억 2,600만 달러로, 주요 10개 지역 가운데 1위를 차지했습니다.
대미 수출은 10.45% 증가한 1,277억 9,100만 달러로, 중국에 이어 2위였으며, 8년 연속 플러스 성장을 이어갔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52억 3,500만 달러로 집계됐는데, 2003년(8억 9,100만 달러) 이후 가장 좁혀진 겁니다.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대중 수출이 대미 수출을 처음으로 앞선 2003년 8억 9,100만 달러였다가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8년 894억 500만 달러로 역대 가장 컸습니다. 2018년 대중 수출액은 1,621억 2,500만 달러로, 대미 수출(727억 2,000만 달러)의 2배 이상이었습니다.
이후 대중·대미 수출 격차는 2019년 628억 5,900만 달러, 2020년 584억 4,900만 달러, 2021년 670억 1,100만 달러, 2022년 460억 2,300만 달러, 2023년 91억 2,200만 달러로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이는 대중 수출은 줄어들고, 대미 수출은 늘어난 결과입니다. 지난해 월별 대중·대미 수출액 기록도 100억 달러 안팎에서 엎치락뒤치락하며 중국과 미국 간 교역 순위 변동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대중 수출은 2021년 1,629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2022년 1,557억 달러, 2023년 1,248억 달러, 2024년 1,330억 달러로 줄었습니다.
중국의 내수 부진과 중간재 자급률 상승으로 인해 한중 교역 구조에 변화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그간 한국은 부품·소재 등 중간재를 중국으로 수출하고, 중국이 이를 완제품으로 만들어 세계 시장에 내놓으면서 한국도 중국 경제의 성장 과실을 함께 누려왔습니다.
실제로 대중 수출은 중국이 WTO에 가입한 지 10년 만인 2010년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넘어섰고, 2015년 한중 FTA까지 발효되면서 2021년 정점에 달했다가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반면 미국으로의 수출은 증가 흐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주요 수출 품목인 자동차(+8.2%), 반도체(122.8%), 일반기계(3.6%), 컴퓨터(196.8%) 등의 수출 증가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삼성, SK, 현대차, LG 등 국내 대기업들이 미국 내 반도체, 이차전지, 전기차 등 첨단산업 설비 투자를 확대하면서 관련 기계류 및 중간재 수출 증가를 이끌었습니다.
미국 빅테크 기업의 인공지능(AI) 서버 투자 확대도 반도체 수출 성장에 기여했습니다.
장상식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큰 소비시장을 갖춘 미국은 소비재와 인프라 투자 증가에서 기인한 IT·기계류·석유화학 등으로 수출 품목이 다변화돼 있다"며 "미국 현지 투자까지 늘면서 관련 중간재 수출이 늘어나 보다 안정적인 수출 구조를 갖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트럼프 2.0 시대에 미중 갈등이 심화하고,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이 가속화할 경우 향후 대중 수출을 확대하기는 더욱 어려워질 전망입니다.
장 원장은 "향후 미중 갈등과 중국의 자립도 강화 움직임을 고려하면 대중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첨단산업 분업 체계와 공급망 강화를 통해 트럼프 행정부 2기에도 미국과 상호보완적인 교역을 늘려야 할 것"이라고 제언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