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수단의 고속화와 차량의 증가로 현대인들의 소음공해 노출 빈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를 완화하기 위한 방음벽 또한 많아질 수 밖에 없는데, 최근엔 이 방음벽이 단순히 소음만을 차단하는 것이 아닌 먼지저감이나 전력생산 등이 더해진 다기능 융복합화로 진화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25일 특허청에 따르면, 2007~2011년 동안 전체 방음벽 특허출원의 18%(82건) 정도였던 다기능 방음벽에 대한 특허출원이 2012~2016년 동안에는 29%(86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기능 방음벽 출원이 전체 방음벽 출원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도 2007년도 10.4%에서 2016년도 31.4%로 대폭 증가했다.
특허청은 "전체 방음벽의 출원이 기술력의 포화에 따라 감소세임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능이 접목된 방음벽에 대한 기술개발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기존 방음벽은 도로변에 수직으로 높이 설치되는 탓에 도시의 미관을 해치고 주민들의 시야를 방해하기 십상이었다. 그러나 최근엔 이같은 거대 구조물에 환경과 에너지 기술을 접목해 다각도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늘어나는 것이다.
도로를 터널형태로 덮는 구조로 기존 방음벽 대비 소음차단효과가 크고 비산먼지까지 차단하는 '터널형 방음벽'이 69건(41%), 식물 등을 배치해 도시의 경관을 개선하고 온·습도 조절로 열섬현상 개선 효과까지 보이는 '식생 방음벽'이 57건(34%), 태양광 패널을 벽면일부에 장착해 발전 기능을 하는 '태양광 방음벽' 42건(25%)이 대표적이다.
출원인별 동향을 살펴보면 ▲중소기업 108건(64.3%) ▲개인 39건(23.2%) ▲연구기관 19건(11.3%) ▲대기업 2건(1.2%) 순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의 참여가 저조한 반면 중소기업과 개인의 출원이 활발한데, 이는 방음벽의 시장규모가 제한적임에 따라 기술력을 가진 일부 전문기업 위주로 연구개발이 이뤄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강전관 특허청 국토환경심사과장은 "최근 도로 방음벽 등의 사회 인프라 구조물에 에너지·환경 기술을 접목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미세먼지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정부의 탈원전 기조로 에너지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이러한 융복합 기술의 개발과 특허출원은 앞으로 증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