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부터 원유값 인하…소비자 판매 가격에도 반영될까
'원유가격 연동제' 시행 후 처음으로 원유(原乳) 가격이 인하되면서 흰 우유와 치즈 등 유가공품의 소비자 가격도 떨어질 지 주목됩니다.
29일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올해 원유 기본가격은 전년(ℓ당 940원)보다 18원 내린 ℓ당 922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우유 생산비가 줄었고 소비 정체 등 원유 수급 상황을 고려했다는 게 낙농진흥회의 설명입니다.
인하된 원유 가격은 올해 8월 1일부터 적용되며, 소비자 판매 가격에 반영되는 것도 그 이후가 될 전망입니다.
낙농진흥회 관계자는 "2013년 원유 가격이 오른 이후 인상분이 소비자 판매 가격에 반영되는 데 한 달 반에서 두 달 가량 걸렸다"며 "과거 사례에 비춰보면 올해도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우유가 남아돌고 수입산이 넘쳐나는데도 가격은 내려가지 않는 기이한 현상이 원유 가격을 결정하는 '원유가격 연동제' 탓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2013년 도입된 원유가격 연동제는 국산 원유를 생산비와 소비자물가를 반영한 공식에 따라 연 1회 원유 가격을 정하도록 한 제도입니다.
애초 도입 취지는 과거 낙농가와 유가공업계가 가격 협상 과정에서 벌인 극단적 대립을 막으려는 것이었지만, 한번 가격이 결정되고 나면 우유 재고가 넘쳐나고 소비가 줄어도 기본 가격은 유지돼 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실제 지난달 말 기준 유가공업체가 쓰고 남은 원유를 보관 목적으로 말린 분유 재고량은 1만7천86t이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달(2만1천944t)에 비하면 분유 재고량이 22.1% 감소한 것이지만, 여전히 적정 분유 재고량 기준인 8천t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준입니다.
이렇듯 국산 우유가 남아도는데도 수입 유제품 소비는 매년 늘어 지난달까지 유제품 누적 수입량이 10만3천t에 달했습니다.
보통 시장 논리대로라면 이런 상황에선 가격이 내려가야 정상이지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집계한 28일 기준 우유 1ℓ의 평균 소매 가격은 평년보다 오히려 6.8% 비싼 2천549원이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번에 처음 원유 가격이 떨어짐에 따라 소비자 가격도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큽니다.
하지만 인하 폭이 1.9% 수준으로 사실상 크지 않은데다, 상품은 가격을 한번 올리면 내리기 쉽지 않아 일반 소비자들이 체감할 만큼의 가격 인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유업체들의 반응도 소극적입니다.
한 유업체 관계자는 "업계가 어려운 상황에서 원유 가격 인하는 환영할 만한 일"이라면서도 "우유 제품 가격에는 단순히 원유 가격뿐 아니라 인건비와 유통비 등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가격 인하를 얘기하는 건 아직 시기상조인 것 같다"고 말을 아꼈습니다.
또 다른 유업체 관계자도 "수입산과 비교하면 여전히 원유 가격은 비싼 편"이라며 "원유 값의 인하 폭 자체도 작아 소비자 가격 인하보다는 동결 쪽으로 기울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원유가격 연동제' 시행 후 처음으로 원유(原乳) 가격이 인하되면서 흰 우유와 치즈 등 유가공품의 소비자 가격도 떨어질 지 주목됩니다.
29일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올해 원유 기본가격은 전년(ℓ당 940원)보다 18원 내린 ℓ당 922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우유 생산비가 줄었고 소비 정체 등 원유 수급 상황을 고려했다는 게 낙농진흥회의 설명입니다.
인하된 원유 가격은 올해 8월 1일부터 적용되며, 소비자 판매 가격에 반영되는 것도 그 이후가 될 전망입니다.
낙농진흥회 관계자는 "2013년 원유 가격이 오른 이후 인상분이 소비자 판매 가격에 반영되는 데 한 달 반에서 두 달 가량 걸렸다"며 "과거 사례에 비춰보면 올해도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려면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우유가 남아돌고 수입산이 넘쳐나는데도 가격은 내려가지 않는 기이한 현상이 원유 가격을 결정하는 '원유가격 연동제' 탓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2013년 도입된 원유가격 연동제는 국산 원유를 생산비와 소비자물가를 반영한 공식에 따라 연 1회 원유 가격을 정하도록 한 제도입니다.
애초 도입 취지는 과거 낙농가와 유가공업계가 가격 협상 과정에서 벌인 극단적 대립을 막으려는 것이었지만, 한번 가격이 결정되고 나면 우유 재고가 넘쳐나고 소비가 줄어도 기본 가격은 유지돼 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실제 지난달 말 기준 유가공업체가 쓰고 남은 원유를 보관 목적으로 말린 분유 재고량은 1만7천86t이었습니다.
지난해 같은 달(2만1천944t)에 비하면 분유 재고량이 22.1% 감소한 것이지만, 여전히 적정 분유 재고량 기준인 8천t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준입니다.
이렇듯 국산 우유가 남아도는데도 수입 유제품 소비는 매년 늘어 지난달까지 유제품 누적 수입량이 10만3천t에 달했습니다.
보통 시장 논리대로라면 이런 상황에선 가격이 내려가야 정상이지만,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집계한 28일 기준 우유 1ℓ의 평균 소매 가격은 평년보다 오히려 6.8% 비싼 2천549원이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이번에 처음 원유 가격이 떨어짐에 따라 소비자 가격도 내려갈 것이라는 기대심리가 큽니다.
하지만 인하 폭이 1.9% 수준으로 사실상 크지 않은데다, 상품은 가격을 한번 올리면 내리기 쉽지 않아 일반 소비자들이 체감할 만큼의 가격 인하 효과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유업체들의 반응도 소극적입니다.
한 유업체 관계자는 "업계가 어려운 상황에서 원유 가격 인하는 환영할 만한 일"이라면서도 "우유 제품 가격에는 단순히 원유 가격뿐 아니라 인건비와 유통비 등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가격 인하를 얘기하는 건 아직 시기상조인 것 같다"고 말을 아꼈습니다.
또 다른 유업체 관계자도 "수입산과 비교하면 여전히 원유 가격은 비싼 편"이라며 "원유 값의 인하 폭 자체도 작아 소비자 가격 인하보다는 동결 쪽으로 기울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