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 10곳 중 9곳 이상에서 생산성 향상 등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한상의는 28일 “유연근무제를 도입했거나 검토 중인 기업 300사를 상대로 한 조사에서 기업의 92.8%가 제도 시행 결과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생산성향상(92.0%), 이직률 감소(92.0%), 우수인재 확보(87.3%) 등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봤다고 답했다. 직원들의 만족도 역시 높았다. 일·가정 양립에 도움이 됐다는 답변이 96.7%,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는 답도 96%에 달했다.
그러나 실제로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기업은 22%로 5곳 중 한곳에 불과했다. 근로자가 출·퇴근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시차출퇴근제의 경우 한국 도입률은 12.7%로 미국(81.%)나 유럽 (66.0%)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였다. 탄력적 근로시간제 도입률은 9.2%, 재택근무는 3.0%에 머물렀다.
기업들이 효과에도 불구하고 유연근무제 도입을 주저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인건비 부담(24.7%)이 가장 컸다. 이 외에도 기존 근로자 업무 가중 부담(23.3%), 인사관리 어려움(22.7%) 등의 순이었다.
상의는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한다고 모든 기업이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면대면 업무방식과 장시간근로관행 등 기업문화를 개선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