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진행된 최근 3년간 전체 퇴직자의 절반은 자발적인 희망퇴직자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공공기관은 전체 인원의 30%가 넘는 인원이 지방이전 이후 희망퇴직을 하기도 했다. 회사가 지방으로 떠나자 공공기관 종사자의 상당수가 이를 기피하고 회사를 떠나고 인력유출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를 전망이다.
2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노근 새누리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지방이전 공공기관 퇴직자 현황’에 따르면, 올해 8월말 기준으로 최근 3년간 지방혁신도시로 이전한 공공기관 86곳의 종사자 3만125명 가운데 693명이 지방이전 완료 뒤 희망퇴직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3년간 공공기관 퇴직자 수는 1384명이었는데 이중 절반(50.1%)가 자발적으로 희망퇴직을 한 셈이다. 반면 정년퇴직자는 221명으로 전체의 16%, 계약만료 퇴직자는 424명으로 전체의 31%, 사망 등 기타는 46명으로 3%였다. 희망퇴직자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셈이다.
이노근 의원은 “지방이전에 따른 거주지 및 환경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희망퇴직자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3년간 전체 퇴직자 중 희망퇴직자 비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부산으로 이전한 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으로 지방이전 직전 임직원 수는 56명이었는데 이중 35%인 20명이 희망퇴직했다. 대구로 이전한 중앙신체검사소도 임직원 28명 중 32%인 9명, 역시 대구로 이전한 한국교육학술정보원도 258명 중 21%인 54명이 희망퇴직했다. 광주로 이전한 농식품공무원교육원은 39명 중 21%인 8명이 희망퇴직했다.
같은 기간 희망퇴직자 수가 가장 많았던 공공기관은 광주로 이전한 우정사업정보센터로 58명이 희망퇴직했다. 경남으로 이전한 한국세라믹기술원은 특히 올해 3월 지방이전이 완료된 뒤 5.5개월 동안 24명이 희망퇴직해 한달평균 4명 이상이 희망퇴직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과 한국가스안전공사도 각각 24명씩 희망퇴직했다.
공공기관 희망퇴직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혁신도시는 광주·전남으로 총 170명이었으며 이어 대구가 105명, 충북이 84명, 부산이 71명 등의 순이었다.
희망퇴직자가 속출하는 이유는 자녀 교육이나 배우자 직장 등의 문제로 본인이 소속된 공공기관을 따라 지방 생활을 하기 어려운 개인적인 사정이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가족과 떨어져 직장생활을 해야 하는 심리적 부담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하지만 이들의 희망퇴직은 공공기관 종사자의 인력유출로 이어질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노근 의원은 “정부와 지자체가 혁신도시의 편의시설이나 교통 인프라를 확충해 계속되는 인력 유출을 차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유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