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들의 신용등급을 두고 국내와 국제신용평가사 간 시각 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CEO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 중 지난달 국내와 해외에서 모두 신용평가를 받은 33개 기업의 신용등급을 조사한 결과 민간 대기업들은 국내에서는 평균 'AA+' 등급을 받았다. 그러나 무디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피치 등 해외 3개 기관으로부터는 평균 'A-'를 받았다.
국내·외 신용평가 등급이 모두 22단계로 돼 있는 점을 감안해 최상위인 'AAA'를 1로 놓고 수치화하면 국내 신용평가사는 1.6등급을, 국제 신용평가사는 6.8등급을 준 것이다. 즉 같은 기업을 두고 국내·외 신용평가사간 등급 차이가 5.2등급에 달한다고 볼 수 있다.
CEO스코어 관계자는 "이는 국내 신용 등급이 해외보다 24% 정도 고평가돼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국가 신용등급과 같은 공기업이나 은행을 제외한 18개 민간기업만을 놓고 봤을 때 그 등급 차이는 더욱 컸다.
국내 신용평가사 평균 등급은 'AA+'(조정수치 2.2등급)인 반면 해외에서는 'BBB+'(8.5등급)를 받았다.
GS칼텍스 역시 무디스와 S&P에서 10등급인 Baa3과 BBB-를 받았으나 국내에서는 2등급인 AA+로 8계단 차이가 났다.
이어 현대자동차, LG전자, 에쓰오일, 롯데쇼핑, SK하이닉스, 현대제철 등이 국내에서 AAA(1등급)∼A+(5등급)을 받았으나 해외에서는 BBB+(8등급)∼Ba2(12등급)에 그쳐 7등급의 차이를 보였다.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 KT, SK텔레콤, SK종합화학, 이마트, 포스코건설, SK E&S 등은 국내에서 받은 최하 등급이 AA-(4등급)였으나 해외에서는 BBB-(10등급)로 6계단 차이가 났다.
이런 시각 차이는 국내 신용평가사들의 경우 채무상환 능력을 평가할 때 모 회사의 지원 등 기업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한국 대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국내 신용평가사들의 주 수입원이 기업들의 평가 수수료인 탓에 대기업의 입김이 평가에 반영될 수밖에 없는 구조도 문제로 지적된다. 실제로 금융감독원은 최근 국내 3대 신용평가사(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와 기업 간 신용등급 평가를 두고 수상한 뒷거래를 적발하기도 했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신용등급 시장이 자율적으로 이뤄지는 체제이지만 투자자 보호를 위해 미국이 도입하고 있는 등급 감시시스템 등 최소한의 방어책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전자, SK이노베이션, 삼성화재해상보험, 현대글로비스 등 8개 회사는 국제 신용평가사에서만 등급을 받아 국내 등급과 비교치가 없어 분석 대상에서 제외됐다. 또 현대중공업, 삼성디스플레이, 삼성물산, LG디스플레이, SK네트웍스, 현대오일뱅크, 두산중공업 등 45개 회사는 국내 신용평가사에서만 신용등급을 받아 해외 평가 이력이 없다.
[매경닷컴 방영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