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으로 그린 대나무에서 바람이 느껴졌다. 부동(不動)의 돌과 흔들리는 대나무잎이 묘한 대조를 이룬다.
최근 전남도립미술관에서 20세기 한국 대표 서예가인 소전 손재형(1903~1981) 서화 '묵죽(墨竹)'을 보고 그의 필력에 새삼 놀랐다. 화폭 왼쪽에 '내가 한때 재미삼아 그린 작품인데 지금으로부터 십여년 전이다. 이 그림을 대하고 보니 서글프게도 격세지감이 느껴진다. 무신년(1968년) 중추절에. 소전'이라는 한문(漢文)이 씌여 있다. 65세 소전은 왜 많은 사람들이 들떠있는 추석날에 회한에 젖었을까.
소전 손재형 '묵죽'.<사진제공=전남도립미술관>
어쩌면 "내 작품들은 다 버려도 추사 김정희 '세한도'(국보)만은 버릴 수 없다"고 했던 그가 놓친 '세한도'를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1960년 국회의원 선거에 나서면서 급전이 필요해 사채업자에게 이 걸작을 저당 잡혔다가 영원히 찾지 못했다. 안목 높은 컬렉터였던 소전은 1944년 일본으로 가서 '세한도'를 소장한 후지쓰카 지카시 경성제대 교수를 석달간 설득한 끝에 거금을 주고 구입해 왔다. 석달 후 후지쓰카 교수 집이 미군 공습으로 잿더미가 됐으며 소전의 노력 덕분에 '세한도'는 무사할 수 있었다는 일화는 지금도 전설처럼 회자된다.그가 소장했던 겸재 정선 '인왕제색도'와 '금강전도(국보)' 역시 선거 자금 때문에 팔았다는 이야기를 듣고 권력욕에 가산을 탕진한 사람으로만 기억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전남도립미술관 전시 '소전 손재형'은 정치에 가려진 서화가의 진면목을 재조명해준다. 전시장에 펼친 서예와 문인화 작품 40여점의 예술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한국 서예 발전에 공헌한 소전의 삶과 철학을 되짚어 보게 한다. 그는 1945년 8·15 광복 직후 과거 일제강점기 사용하던 서도(書道) 대신 서예(書藝)를 쓰자고 주창했다. 예로부터 선비가 갖춰야 할 여섯가지 교양이던 육예(六藝) 중 서(書·쓰기)와 예(禮·예의범절)에서 따왔다.
소전 손재형
전남 진도 유지의 아들로 태어난 소전은 이곳으로 귀향온 조선말기 학자 정만조에게 한학을 배웠다. 1924년 조선미술전람회 입선을 시작으로 해마다 수상할 정도로 뛰어났으며, 당대 선배 서화가들의 서체를 두루 익혔다. 중년인 1940~50년대에는 전서 자형과 예서 자형을 번갈아 섞어 서체의 경계를 허무는 등 다양한 실험을 했다.특히 기존 서예계에서 관심이 없었던 한글 서예의 가능성을 열었다. 1956년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을 기리고자 진도 울돌목에 세운 이충무공 벽파진 전첩비문 탁본이 한글과 한자 혼용 서체의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소전 손재형 '벽파진 충무공비 탁본'.<사진제공=전남도립미술관>
60세 이후에는 완숙한 서예 경지에 올라 '추사체' 이후 거의 처음으로 자신 만의 서체인 '소전체'를 인정받았다. 전반적으로 서체가 부드럽지만, 골격이 있어 편안함 속에 힘이 있는게 특징이다.소전은 서예 뿐만 아니라 격조 높은 문인화를 많이 남겼다. 매화, 대나무, 난초, 국화 등 사군자와 괴석, 소나무, 초충도, 금강산과 다도해를 그린 수묵 산수화 등 수준급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소전 손재형 '초충도'.<사진제공=전남도립미술관
전시장에 걸린 TV 영상에서는 한국화 대가 서세옥이 "추사 김정희 선생은 우리 서예를 국제적으로 떨친 분이고, 소전은 100년 뒤에 태어나 추사 선생 같은 업적을 남긴 분이다"고 회상한다. 이제 소전을 재평가해야 할 시기가 온 것 같다.[전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