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성수기 대작 '혹성탈출: 종의 전쟁'이 지난달 31일 시사회에서 처음 공개됐다. 루퍼트 와이어트가 연출한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2011)으로 리부트 3부작의 닻을 올린 이 시리즈는 2부 '반격의 서막'(2014)에서부터 멧 리브스가 감독직을 이어 받았다. 최종편인 3부 '종의 전쟁'은 이 미국 감독의 작가적 야심이 두드러진 한 편의 장엄한 종교·신화적 대서사시이며, 존 포드를 비롯한 서부극 거장들에 대한 오마주까지 더해진 보기 드문 걸작이다.
영화는 시리즈 여정을 요약해주는 내레이션에서 출발해 인류와 유인원과의 거대한 전투를 곧바로 펼쳐보인다. 신약의 유다처럼 유인원을 배반하며 인류에 부역하고 있는 또 다른 유인원이 눈에 띈다. 2부에서 인류와의 공존을 모색하던 시저와 이들에 대한 증오감에 사로잡힌 코바의 갈등이 중심 서사였다면, 이번엔 인류에 저항하는 유인원과 그 인류에 부역하는 유인원의 갈등, 인류와 인류의 갈등까지 보여주며 서사의 층위를 한층 드높인다.
![](https://img.mbn.co.kr/filewww/news/other/2017/08/01/841021110820.jpg)
이 여정에서 펼쳐지는 설경은 그야말로 숨이 멎을 정도로 아름답다. 상당 부분 디지털 이미지이지만, 그럼에도 눈앞에 전경화된 풍광은 실로 기이한 감흥을 자아낸다. 그 복판을 '설야의 무법자'들이 나아갈 때, 고전 서부극들의 더없이 무심한 표정의 매혹적인 사내들, 존 웨인을 비롯한 헨리 폰다, 게리 쿠퍼 등의 명배우들이 떠오르는 건 자연스런 일이다. 감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저 멀리 드러나는 설산의 흰 봉우리들이 우리 눈 앞에 우뚝 서 있다. 모뉴먼트 밸리를 재현해놓은 듯한 화면 후경의 거대한 봉우리들은 바라봄 그 자체로 압도되게 만든다.
![](https://img.mbn.co.kr/filewww/news/other/2017/08/01/000142012001.jpg)
시저가 설원에서 거둬들인 두 인물을 비롯해 이제 유인원들은 시저를 도와 대탈출 계획을 도모한다. 말을 잃은 인간 소녀 노바(아미아 밀러)가 어느 인간보다 순수한 성녀의 이미지를 체현하며 다 죽어가는 시저를 되살리는 이적을 행하고, 서커스단에서 탈출해 홀로 숨어 살던 깡마른 유인원 배드 에이프 또한 이들 공동체를 전적으로 돕는다. 그렇게 "유인원은 뭉치면 강하다"던 격언은 온전히 실현된다. 인류에 대한 복수심을 키워가던 시저도 결국엔 그 감정을 거둔다. 장엄한 대탈출과 거대한 눈사태 이후 이 영화 마지막 신은 마치 창세기의 21세기형 판본처럼 여겨진다.
![](https://img.mbn.co.kr/filewww/news/other/2017/08/01/871101814811.jpg)
[김시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