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이퍼링(유동성 공급 축소) 확정 전까지는 시장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분간 현금 비중을 늘리는 것을 추천해 드려요."
지난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미국 테이퍼링이 가시화되면서 세계 금융 시장에 변화가 예상된다. 매일경제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은행 자산관리센터(WM)에 추석 이후 재테크 전략을 문의한 결과, 전문가들은 "하반기 조정 가능성이 높으니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 대한 투자 비중을 높이고 실적과 현금 흐름이 뒷받침되는 우량 종목 위주로 선별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오는 21~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11월 테이퍼링 시작에 대한 합의를 추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3일 발표된 8월 미국 고용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연내 테이퍼링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지만, 시장에서는 연준이 연내 돌입할 계획을 꾸준히 고수하고 있다는 전망에 더 무게를 싣고 있다. 올 상반기를 기점으로 꺾일 것으로 예상됐던 인플레이션이 하반기에도 계속돼 연준에 부담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미 연준의 테이퍼링은 통화 긴축의 신호탄인 만큼 전문가들은 시장 변동성 확대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최홍석 신한은행 PWM잠실센터 팀장은 "경제 정상화가 막 시작되는 단계지만 세계 경제 성장에 대한 확신은 줄어드는 가운데 일부에서는 기업 이익이 꼭지에 달했다고 우려하고 있다"며 "시장 변동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질적으로 우량한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선호가 강화되고 선진국과 신흥국 간 격차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전문가들은 투자 자산 일부를 매도해 당분간 현금을 확보하는 전략을 취하라고 조언했다. 예비 자금을 공모주에만 투자하는 공모주 펀드에 넣어 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김현섭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팀장은 "당분간 현금 비중을 유지하다 추후 증시 하락 시 장기 성장성이 높은 업종이나 낙폭이 큰 업종의 상장지수펀드(ETF)와 펀드를 분할 매수할 것"을 추천했다.
김학수 하나은행 도곡PB센터 팀장은 "금리 상승기에는 실물 자산 가치가 떨어지고 현금 자산 가치가 올라가게 된다"며 "변동성이 높은 시기에 안전성을 추구하는 고객이라면 만기 3개월이나 6개월짜리 은행 단기예금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단기로 예금을 예치하면 만기 때마다 높은 금리로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 시장과 관련해 시중은행 PB들은 단기 조정 이후 중장기 우상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코로나19의 특수성이 점차 사라지고 전 세계 유동성이 흡수되기 시작하면서 개별 종목이나 업종 선택이 중요해졌다는 설명이다.
최 팀장은 "금리 인상기에는 현금 흐름이 좋고 재무 안정성이 높은 실적주, 부채비율이 낮고 자산 비중이 높은 자산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형리 NH농협은행 All100자문센터 수석전문위원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던 가치주·배당주 펀드와 경기 정상화로 임대수익 증가가 예상되는 리츠 투자를 추천했다.
메타버스와 환경·책임·투명경영(ESG) 등 시장 추세에 부합하는 성장주, 글로벌 소비재 ETF 투자도 유망한 것으로 꼽혔다.
과거 경기 회복기와 인플레이션 상승 국면에서는 구리·원유·철광석 등 원자재가 주식, 채권 등에 비해 수익률이 높은 경우가 많았다.
반면 금이나 채권 등 전통적 안전자산들은 수익률 면에서 더 이상 안전자산 역할을 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금은 무(無)이자 자산인 만큼 금리가 상승하면 투자 매력이 떨어질 수 있다. 금리 상승 시 가격이 하락하는 채권도 투자 비중을 줄일 필요가 있다.
다만 서상원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팀장은 "코로나19 변이 재확산에 따른 경제봉쇄 조치 등 리스크가 다시 확대될 경우를 대비해 1년 미만 단기채권과 우량 회사채는 전체 포트폴리오 중 일부로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MZ세대(2030세대)에서 각광받는 가상화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전문가들은 "가상자산은 국제사회에서도 아직 금융자산으로서 개념 정립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가상화폐 거래소 폐업 가능성과 높은 가격 변동성을 감안해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혜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난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미국 테이퍼링이 가시화되면서 세계 금융 시장에 변화가 예상된다. 매일경제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국내 5대 은행 자산관리센터(WM)에 추석 이후 재테크 전략을 문의한 결과, 전문가들은 "하반기 조정 가능성이 높으니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 대한 투자 비중을 높이고 실적과 현금 흐름이 뒷받침되는 우량 종목 위주로 선별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오는 21~22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11월 테이퍼링 시작에 대한 합의를 추진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난 3일 발표된 8월 미국 고용지표가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연내 테이퍼링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지만, 시장에서는 연준이 연내 돌입할 계획을 꾸준히 고수하고 있다는 전망에 더 무게를 싣고 있다. 올 상반기를 기점으로 꺾일 것으로 예상됐던 인플레이션이 하반기에도 계속돼 연준에 부담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미 연준의 테이퍼링은 통화 긴축의 신호탄인 만큼 전문가들은 시장 변동성 확대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최홍석 신한은행 PWM잠실센터 팀장은 "경제 정상화가 막 시작되는 단계지만 세계 경제 성장에 대한 확신은 줄어드는 가운데 일부에서는 기업 이익이 꼭지에 달했다고 우려하고 있다"며 "시장 변동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질적으로 우량한 자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선호가 강화되고 선진국과 신흥국 간 격차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전문가들은 투자 자산 일부를 매도해 당분간 현금을 확보하는 전략을 취하라고 조언했다. 예비 자금을 공모주에만 투자하는 공모주 펀드에 넣어 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김현섭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팀장은 "당분간 현금 비중을 유지하다 추후 증시 하락 시 장기 성장성이 높은 업종이나 낙폭이 큰 업종의 상장지수펀드(ETF)와 펀드를 분할 매수할 것"을 추천했다.
김학수 하나은행 도곡PB센터 팀장은 "금리 상승기에는 실물 자산 가치가 떨어지고 현금 자산 가치가 올라가게 된다"며 "변동성이 높은 시기에 안전성을 추구하는 고객이라면 만기 3개월이나 6개월짜리 은행 단기예금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단기로 예금을 예치하면 만기 때마다 높은 금리로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 시장과 관련해 시중은행 PB들은 단기 조정 이후 중장기 우상향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코로나19의 특수성이 점차 사라지고 전 세계 유동성이 흡수되기 시작하면서 개별 종목이나 업종 선택이 중요해졌다는 설명이다.
최 팀장은 "금리 인상기에는 현금 흐름이 좋고 재무 안정성이 높은 실적주, 부채비율이 낮고 자산 비중이 높은 자산주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형리 NH농협은행 All100자문센터 수석전문위원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던 가치주·배당주 펀드와 경기 정상화로 임대수익 증가가 예상되는 리츠 투자를 추천했다.
메타버스와 환경·책임·투명경영(ESG) 등 시장 추세에 부합하는 성장주, 글로벌 소비재 ETF 투자도 유망한 것으로 꼽혔다.
과거 경기 회복기와 인플레이션 상승 국면에서는 구리·원유·철광석 등 원자재가 주식, 채권 등에 비해 수익률이 높은 경우가 많았다.
반면 금이나 채권 등 전통적 안전자산들은 수익률 면에서 더 이상 안전자산 역할을 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금은 무(無)이자 자산인 만큼 금리가 상승하면 투자 매력이 떨어질 수 있다. 금리 상승 시 가격이 하락하는 채권도 투자 비중을 줄일 필요가 있다.
다만 서상원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팀장은 "코로나19 변이 재확산에 따른 경제봉쇄 조치 등 리스크가 다시 확대될 경우를 대비해 1년 미만 단기채권과 우량 회사채는 전체 포트폴리오 중 일부로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MZ세대(2030세대)에서 각광받는 가상화폐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많았다. 전문가들은 "가상자산은 국제사회에서도 아직 금융자산으로서 개념 정립이 이뤄지지 않았다"며 "가상화폐 거래소 폐업 가능성과 높은 가격 변동성을 감안해 매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김혜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