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러시아산 백신도 예방 효과 無"
화이자와 모더나 같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으로 제작된 코로나19 백신을 제외한 나머지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를 막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지 시간으로 19일 뉴욕타임스(NYT)는 아스트라제네카(AZ), 얀센, 중국의 시노백·시노팜, 러시아의 스푸트니크 백신 등이 오미크론 변이 감염에 대한 예방 효과가 없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여러 초기 연구결과에 따르면 화이자와 모더나 등 mRNA 백신을 3차 접종까지 마친 경우 오미크론 변이 감염을 막는 데 효과가 있었으나 AZ와 얀센 등 다른 방식으로 개발된 백신은 오미크론 변이 확산을 막는 데에 거의 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중국산 백신은 중국을 비롯해 멕시코와 브라질의 중산층 이하에 많이 접종됐으며, 러시아산 백신은 아프리카와 라틴아메리카에서 널리 사용됐습니다. 얀센 백신도 한 차례만 접종하면 된다는 강점 때문에 아프리카에서 수요가 컸습니다.
이에 대해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공중보건스쿨의 톨버트 응엔스와 선임 연구원은 "비(非) mRNA 백신에 의존해온 남반구 국가들에 대한 새로운 위협은 부유한 국가들이 백신 기술을 공유하거나 중저소득 국가의 생산기지 건설을 돕지 않은 잘못의 결과물"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중국 시노팜 코로나19 백신 / 사진=연합뉴스
일각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로 백신 기피가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스티븐 모리슨 국제전략연구소(CSIS) 세계보건정책국장은 "백신 자체의 가치가 도전받고 있다. (이 연구 결과로) 반(反)백신 정서가 강해지고 신뢰가 떨어질 수 있다"라고 전했습니다.
이에 NYT는 mRNA 백신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백신 접종 자체가 오미크론 변이의 심각한 중증으로의 발전을 막아주기 때문에 감염 예방보다는 중증화 예방에 방점을 두고 백신 접종을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GAVI의 버클리 CEO는 "그런 백신들(중국·러시아산 등)도 중증화와 사망률을 낮추기 때문에 '선진국에서 잘 쓰지 않는 백신은 우리도 쓰지 않겠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짚었습니다.
한편,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하자 미국의 '방역 사령탑'인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은 "오미크론에 대해 매우 분명한 한 가지는 변이의 놀라운 확산 능력과 전염력"이라며 "힘든 겨울을 대비해야 한다"라고 경고했습니다.
[차유채 디지털뉴스 기자 jejuflower@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