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4일(현지시간) 밤 국정연설에는 이례적으로 '북한'이 등장하지 않아 그 배경에 관심이 쏠렸다.
국정연설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초 한해의 분야별 국정운영 청사진을 밝히는 자리로, 올해 세 번째로 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정연설에서 이란과 IS(이슬람 국가), 이스라엘 및 팔레스타인, 아프가니스탄 등 중동, 베네수엘라, 쿠바 등 대외 현안들을 언급했지만, 북한 문제는 거론하지 않았다.
북한이 지난 연말 경고한 '크리스마스 선물'은 현실화하지 않았지만 새로운 전략무기와 '충격적 실제 행동' 예고로 북미 간 교착·경색 국면이 장기화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을 언급하지 않은 건 이례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9월 유엔총회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한반도에 대한 대담한 외교'를 천명하며 북한의 비핵화를 거듭 촉구했다. 그는 "전 세계에 대한 나의 메시지는 분명하다"면서 "미국의 목표는 항구적이다. 미국의 목표는 화합이며 미국의 목표는 절대 끝나지 않는, 끝없는 전쟁을 이어가지 않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국정연설에서는 중동 내 미국의 전쟁 종식을 위해 노력한다고 밝힐 뿐 북한은 따로 언급하지 않았다.
북한 문제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공을 들여온 대표적 외교 분야라는 점에서 짧게라도 어떤 식으로든 거론하고 지나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된 상태였지만 언급은 없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올해 국정연설에서 북한에 대해 말을 아낀 것은 대선 국면에서 대북 상황관리에 주력하고 있는 흐름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가 최근 '인내하는 외교'를 강조하며 "서두르지 않겠다"는 속도조절론을 다시 꺼내들었기 때문이다.
이는 외교를 통한 대북 문제 해결이라는 기본 원칙을 견지하면서도 실질적인 속도를 내기보다는 대선 길목에서 북한의 탈선 방지와 협상 틀 유지에 방점을 둬 '대북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기류와 맞닿는다. 불필요한 자극은 피하겠다는 포석이 깔려 있다는 셈이다.
일각에서는 '전략적 무시' 차원이 아니냐는 풀이도 나온다.
대북 문제를 외교 분야의 최고 치적으로 내세워온 트럼프 대통령으로선 북한 관련 가시적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국정연설장에서 북한을 언급하는 게 대선 국면에서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대선 국면에서 북한 문제가 이란을 비롯한 중동 문제 등 화급한 현안에 가려져 우선순위에서 상대적으로 '뒷전'으로 밀린 게 아니냐는 분석도 고개를 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마지막 대북 관련 언급은 미·중 1단계 무역 합의 서명식이 있던 지난달 15일 북한 문제에 있어 중국과 아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설명한 '체스 게임' 비유다.
그러나 백악관은 이날 국정연설과 관련해 배포한 분야별 설명자료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의 군을 재건하고 해외에서 미국의 국익을 보호하고 있다"며 '평화 추구' 항목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끝없는 전쟁에 종지부를 찍고 이 세계를 모두를 위해 더욱더 평화롭고 번영한 장소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또 백악관은 "한반도에서부터 중동, 발칸에 이르기까지 트럼프 행정부는 평화의 확산을 추구하고 있다"며 한반도에 대한 평화 추구 입장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6월 플로리다에서 했던 재선 출정식 때에도 미·중 간 무역협정을 비롯, 이스라엘과 이란, 베네수엘라, 쿠바 등 국제 현안들을 잠시 열거하면서 북한은 거론하지 않았다. 이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을 앞두고 예민한 국면에서 말을 아낌으로써 상황관리에 나선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정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