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이 서스럼없이 거짓말하는 이유는?"…영국 뇌연구서 원인밝혀
거짓말은 할수록 늘고 갈수록 커진다는 것을 뇌과학적으로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사람의 뇌에는 부정직한 행동을 꺼리게 하는 일종의 '제동장치' 역할을 하는 부위가 있는데 거짓말이 반복될수록 그만큼씩 이 제동력이 줄어든다는 점을 뇌 영상 촬영을 통해 확인했다는 것입니다.
뇌가 거짓말에 익숙해지며 별 죄책감 없이 더 큰 거짓말을 하는 악순환이 확대된다는 설명입니다.
26일 사이언스 데일리 등의 매체에 따르면, 영국 런던대학(UCL) 심리학과 탤리 샤롯 교수팀은 18~65세 자원자 80명에게 일종의 '거짓말-보상 게임' 실험을 시키며 이들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 촬영장치(fMRI)로 촬영,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때로 거짓이 시간이 갈수록 눈덩이처럼 커지는 이유를 생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실증적 증거를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종종 제멋대로인 정치인, 부패한 금융업자, 연구결과를 조작하는 과학자, 충실하지 못한 배우자 등이 왜 결국 엄청난 거짓말도 서슴없이 하는지를 과학적으로 설명해준다고 샤롯 교수는 말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러한 이른바 '거짓말의 급경사를 미끄럼타는 일'은 뇌 측두엽 안쪽에 있는 편도체와 관련 있습니다. 편도체는 정서적 정보를 통합·처리하는 일에 밀접하게 관여합니다. 특히 공포나 불쾌한 감정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해 대처하게 합니다.
실험 결과 작고 하찮은 거짓말이나 부정직한 행동을 해도 처음엔 뇌 편도체 활동이 급증했습니다. 정서적으로 '찔리는 감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 거짓말을 하는데 일정한 제동이 걸립니다.
그러나 그다음에도 거짓말을 할 경우엔 편도체 활동량이 줄어들고 제동력이 그만큼 더 약해져 이후엔 더 큰 거짓말을 할 수 있게 됩니다.실험에선 자신에겐 득이 되고 실험 파트너에겐 손해일 때보다 두 사람 모두에게 득이 될 때 거짓말을 하는 폭이 훨씬 더 컸습니다. 서로 득이 된다고 믿는 거짓말은 '나쁘다고 여기지 않는 심리가 강화되기 때문'으로 연구팀은 분석했습니다.
뇌신경 및 심리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결과는 같은 방식의 게임을 60회 진행하는 동안 유사한 거짓말을 연속 반복하는 상황을 설정했다는 점에서 현실 세계에 그대로 대입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 세상에선 특정 개인이 각기 다른 상황과 내용의 거짓말을 하게 되고 그 간격도 몇 초 내지 며칠, 몇 달 등으로 불규칙할 수 있는 데다 앞서 특정 일로 거짓말을 했더라도 다른 일에선 거짓말을 하지 않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부정직한 행동을 할 때 편도체의 반응과 활동량이 달라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습니다.
샤롯 교수팀은 '편도체의 감소 추세를 막는 것은 무엇인지', 즉 거짓말을 반복 확대하지 않도록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추가 연구할 예정입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신경학' 온라인판 24일자(현지시간)에 실렸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거짓말은 할수록 늘고 갈수록 커진다는 것을 뇌과학적으로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사람의 뇌에는 부정직한 행동을 꺼리게 하는 일종의 '제동장치' 역할을 하는 부위가 있는데 거짓말이 반복될수록 그만큼씩 이 제동력이 줄어든다는 점을 뇌 영상 촬영을 통해 확인했다는 것입니다.
뇌가 거짓말에 익숙해지며 별 죄책감 없이 더 큰 거짓말을 하는 악순환이 확대된다는 설명입니다.
26일 사이언스 데일리 등의 매체에 따르면, 영국 런던대학(UCL) 심리학과 탤리 샤롯 교수팀은 18~65세 자원자 80명에게 일종의 '거짓말-보상 게임' 실험을 시키며 이들의 뇌를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 촬영장치(fMRI)로 촬영,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때로 거짓이 시간이 갈수록 눈덩이처럼 커지는 이유를 생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실증적 증거를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종종 제멋대로인 정치인, 부패한 금융업자, 연구결과를 조작하는 과학자, 충실하지 못한 배우자 등이 왜 결국 엄청난 거짓말도 서슴없이 하는지를 과학적으로 설명해준다고 샤롯 교수는 말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러한 이른바 '거짓말의 급경사를 미끄럼타는 일'은 뇌 측두엽 안쪽에 있는 편도체와 관련 있습니다. 편도체는 정서적 정보를 통합·처리하는 일에 밀접하게 관여합니다. 특히 공포나 불쾌한 감정과 관련된 정보를 전달해 대처하게 합니다.
실험 결과 작고 하찮은 거짓말이나 부정직한 행동을 해도 처음엔 뇌 편도체 활동이 급증했습니다. 정서적으로 '찔리는 감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다음 거짓말을 하는데 일정한 제동이 걸립니다.
그러나 그다음에도 거짓말을 할 경우엔 편도체 활동량이 줄어들고 제동력이 그만큼 더 약해져 이후엔 더 큰 거짓말을 할 수 있게 됩니다.실험에선 자신에겐 득이 되고 실험 파트너에겐 손해일 때보다 두 사람 모두에게 득이 될 때 거짓말을 하는 폭이 훨씬 더 컸습니다. 서로 득이 된다고 믿는 거짓말은 '나쁘다고 여기지 않는 심리가 강화되기 때문'으로 연구팀은 분석했습니다.
뇌신경 및 심리전문가들은 이번 연구결과는 같은 방식의 게임을 60회 진행하는 동안 유사한 거짓말을 연속 반복하는 상황을 설정했다는 점에서 현실 세계에 그대로 대입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실제 세상에선 특정 개인이 각기 다른 상황과 내용의 거짓말을 하게 되고 그 간격도 몇 초 내지 며칠, 몇 달 등으로 불규칙할 수 있는 데다 앞서 특정 일로 거짓말을 했더라도 다른 일에선 거짓말을 하지 않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부정직한 행동을 할 때 편도체의 반응과 활동량이 달라진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준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습니다.
샤롯 교수팀은 '편도체의 감소 추세를 막는 것은 무엇인지', 즉 거짓말을 반복 확대하지 않도록 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추가 연구할 예정입니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신경학' 온라인판 24일자(현지시간)에 실렸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