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정상회의서 경제현안 중심 논의…"저성장 해법 찾자"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이 4일 중국 항저우(杭州)에 모여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이후 세계경제의 회복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습니다.
1999년 G20 체제가 갖춰지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G20 정상회의가 출범한 이래 중국에서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의장국인 중국은 이번 회의를 세계경제에서의 리더십을 확인하는 기회로 삼을 계획입니다.
G20 정상회의는 이날 오후 3시(현지시간) 항저우 서호(西湖) 주변의 국제엑스포센터(HIEC)에서 공식 개막했습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개회사를 통해 "부채증가로 인해 세계경제에 리스크가 쌓이고 있다"면서 "각국이 무역과 투자를 늘리고 보호무역주의를 회피하기 위한 조치에 착수해야 하며 공허한 대화가 아닌 실질적 행동으로 공조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시 주석은 "이번 G20 회의가 거시경제 정책 공조, 혁신 주도의 성장, 보다 효율적인 세계 경제금융 거버넌스, 견조한 교역과 투자, 포용적이고 상호 협력적인 발전 등 세계경제에 필요한 다양한 현안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시 주석의 개막선언에 이어 각국 정상은 세계경제 저성장, 고실업 문제에 대처할 정책공조 방안을 논의하는 제1세션 회의를 가졌다. 이들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개척해야 할 필요성에 공감하고 2014년에 마련한 각국의 성장전략 이행 및 구조개혁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정상들은 또 서호 시쯔(西子)호텔로 자리를 옮겨 환영만찬, 기념촬영과 함께 장이머우(張藝謨) 감독이 연출하는 공연을 관람했습니다.
5일에는 '혁신, 활력, 연계, 포용적인 세계경제 건설'을 주제로 혁신적 성장을 위한 청사진, 혁신 액션플랜, 신산업혁명 액션플랜, 디지털 경제 이니셔티브 등 4개 세션이 이어진다. 정상들이 합의문을 채택한 다음 폐막할 예정입니다.
시 주석을 비롯해 박근혜 대통령,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등 20개 회원국의 정상과 중국이 초청한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 8개국, 국제연합(UN),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 7개 국제기구도 이번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지난해 11월 터키 안탈리아에서 테러 대응책을 주제로 개최된 지 10개월 만에 열리는 이번 회의에서는 세계경제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됩니다.
세계경제가 저성장 국면에서 벗어나기 위해 재정·통화 및 구조개혁 등 정책수단을 총동원하는 방안을 논의하게 됩니다. 지속적인 성장과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 및 신성장동력 확보 필요성에 대해서 의견을 교환합니다.
IMF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3.8%로 제시했다가 최근 3.1%로 낮춘 상태입니다.
특히 브렉시트 이후 보호무역주의 대두와 포퓰리즘 확산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포용적 성장'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논의를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국 정상은 이를 위해 무역원활화협정(TFA) 연내 비준 촉구, 보호무역조치 동결 및 철폐 공약 연장에 대한 G20 공동의 입장을 밝히고 세계무역성장전략 및 국제투자정책수립 가이드라인 등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미 각국은 세계경제의 하방 리스크를 경고하고, 견조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가는 것을 골자로 한 '항저우 컨센서스'를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를 위해 각국 정상이 통화절하 경쟁과 보호주의를 거부하고 세계경제 성장을 위해 재정지출, 통화정책, 구조개혁 등 가능한 모든 정책수단을 활용하기로 하는 내용의 G20 공동합의문 초안을 논의 중이라고 교도통신이 전했습니다.
중국 관영매체는 이번 회의가 처음으로 세계성장의 중장기 동력 확보 문제를 논의하는 동시에 각국 거시경제정책 공조의 틀과 구조개혁의 우선순위, 지도원칙, 목표를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G20 회의를 하루 앞두고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과 중국이 파리 기후협정을 공식 비준함으로써 파리협정의 발효를 앞당기게 된 회의로 평가했습니다.
정상회의 기간 이뤄지는 양자 간 정상회담에서는 이런 경제 사회 현안 외에도 남중국해 문제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를 비롯한 개별적인 안보 의제도 논의됩니다. 테러 자금 조달 차단 등 대테러 공조, 난민 위기에 대한 부담 공유 문제도 현안 중 하나입니다.
개막을 하루 앞두고 3일 밤 열린 오바마 대통령과 시 주석 간의 미중 정상회담에서도 사드, 남중국해, 인권 문제를 놓고 4시간가량 격론을 벌였습니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이 5일 갖게 될 양자 회담에도 관심이 집중됩니다. 한미의 지난 7월 8일 사드 배치 결정 이후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이 만나는 것은 처음입니다.
한중 관계가 북한의 잇따른 도발과 대북 제재에 이은 사드 배치 등으로 분수령을 맞고 있는 만큼 이번 회담이 성사된 것 자체가 양국의 긴장국면을 완화해주는 완충재 작용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주요 20개국(G20) 정상들이 4일 중국 항저우(杭州)에 모여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 이후 세계경제의 회복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습니다.
1999년 G20 체제가 갖춰지고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G20 정상회의가 출범한 이래 중국에서 열리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의장국인 중국은 이번 회의를 세계경제에서의 리더십을 확인하는 기회로 삼을 계획입니다.
G20 정상회의는 이날 오후 3시(현지시간) 항저우 서호(西湖) 주변의 국제엑스포센터(HIEC)에서 공식 개막했습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개회사를 통해 "부채증가로 인해 세계경제에 리스크가 쌓이고 있다"면서 "각국이 무역과 투자를 늘리고 보호무역주의를 회피하기 위한 조치에 착수해야 하며 공허한 대화가 아닌 실질적 행동으로 공조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시 주석은 "이번 G20 회의가 거시경제 정책 공조, 혁신 주도의 성장, 보다 효율적인 세계 경제금융 거버넌스, 견조한 교역과 투자, 포용적이고 상호 협력적인 발전 등 세계경제에 필요한 다양한 현안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시 주석의 개막선언에 이어 각국 정상은 세계경제 저성장, 고실업 문제에 대처할 정책공조 방안을 논의하는 제1세션 회의를 가졌다. 이들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개척해야 할 필요성에 공감하고 2014년에 마련한 각국의 성장전략 이행 및 구조개혁 상황을 점검했습니다.
정상들은 또 서호 시쯔(西子)호텔로 자리를 옮겨 환영만찬, 기념촬영과 함께 장이머우(張藝謨) 감독이 연출하는 공연을 관람했습니다.
5일에는 '혁신, 활력, 연계, 포용적인 세계경제 건설'을 주제로 혁신적 성장을 위한 청사진, 혁신 액션플랜, 신산업혁명 액션플랜, 디지털 경제 이니셔티브 등 4개 세션이 이어진다. 정상들이 합의문을 채택한 다음 폐막할 예정입니다.
시 주석을 비롯해 박근혜 대통령,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등 20개 회원국의 정상과 중국이 초청한 아시아 및 아프리카 지역 8개국, 국제연합(UN),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등 7개 국제기구도 이번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지난해 11월 터키 안탈리아에서 테러 대응책을 주제로 개최된 지 10개월 만에 열리는 이번 회의에서는 세계경제 문제가 집중적으로 논의됩니다.
세계경제가 저성장 국면에서 벗어나기 위해 재정·통화 및 구조개혁 등 정책수단을 총동원하는 방안을 논의하게 됩니다. 지속적인 성장과 잠재성장률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 및 신성장동력 확보 필요성에 대해서 의견을 교환합니다.
IMF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을 3.8%로 제시했다가 최근 3.1%로 낮춘 상태입니다.
특히 브렉시트 이후 보호무역주의 대두와 포퓰리즘 확산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포용적 성장'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논의를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각국 정상은 이를 위해 무역원활화협정(TFA) 연내 비준 촉구, 보호무역조치 동결 및 철폐 공약 연장에 대한 G20 공동의 입장을 밝히고 세계무역성장전략 및 국제투자정책수립 가이드라인 등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미 각국은 세계경제의 하방 리스크를 경고하고, 견조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가는 것을 골자로 한 '항저우 컨센서스'를 마련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를 위해 각국 정상이 통화절하 경쟁과 보호주의를 거부하고 세계경제 성장을 위해 재정지출, 통화정책, 구조개혁 등 가능한 모든 정책수단을 활용하기로 하는 내용의 G20 공동합의문 초안을 논의 중이라고 교도통신이 전했습니다.
중국 관영매체는 이번 회의가 처음으로 세계성장의 중장기 동력 확보 문제를 논의하는 동시에 각국 거시경제정책 공조의 틀과 구조개혁의 우선순위, 지도원칙, 목표를 제시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아울러 G20 회의를 하루 앞두고 세계 최대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미국과 중국이 파리 기후협정을 공식 비준함으로써 파리협정의 발효를 앞당기게 된 회의로 평가했습니다.
정상회의 기간 이뤄지는 양자 간 정상회담에서는 이런 경제 사회 현안 외에도 남중국해 문제와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사드)를 비롯한 개별적인 안보 의제도 논의됩니다. 테러 자금 조달 차단 등 대테러 공조, 난민 위기에 대한 부담 공유 문제도 현안 중 하나입니다.
개막을 하루 앞두고 3일 밤 열린 오바마 대통령과 시 주석 간의 미중 정상회담에서도 사드, 남중국해, 인권 문제를 놓고 4시간가량 격론을 벌였습니다.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이 5일 갖게 될 양자 회담에도 관심이 집중됩니다. 한미의 지난 7월 8일 사드 배치 결정 이후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이 만나는 것은 처음입니다.
한중 관계가 북한의 잇따른 도발과 대북 제재에 이은 사드 배치 등으로 분수령을 맞고 있는 만큼 이번 회담이 성사된 것 자체가 양국의 긴장국면을 완화해주는 완충재 작용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