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서울에서 서해안고속도로를 따라 승용차로 3시간 반을 달려 도착한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포 마을. 입구부터 짭쪼름한 굴비 비린내가 코를 찌른다. 참조기를 말리는 사각형 모양의 ‘덕장’에는 추석 대목에 전국 각지로 팔려나갈 굴비가 줄줄이 널려 있었다.
작년 추석 이 맘 때만해도 온 동네 일손을 불러 모아 휴일 밤까지 굴비 포장에 여념이 없었을 법성포의 분주함은 온데간데 없었다. 대신 덕장 너머로 담배를 물고 있는 김진철(30·가명)씨의 처진 어깨가 눈에 들어왔다. 그는 “5만 원이 넘는 선물은 김영란법 위반이라는 심리 탓인지 법 시행 전인데도 굴비를 찾는 문의전화가 뚝 끊겼다”고 말했다.
실제로 가게 냉동고에는 주인을 찾지 못한 굴비들이 가득 채워져 있었다. 김씨는 “한 두름(20마리)에 10~15만원 하던 ‘큰 놈’들은 냉동고에 쌓여 있고, 크기가 죄다 작은 5만원 이내 물건만 팔려나간다”고 말했다.
김영란법 이전부터 법성포는 이미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었다. 1차적으로 중국 어선들의 남획으로 국내 어획량이 줄면서 영광굴비의 원재료인 참조기 가격이 3년 새 두 배로 폭등했다. 그 사이 연간 굴비 판매량은 20% 이상 감소해 업계 총 연매출은 1년 사이 500억 원이 줄었다.
여기에 김영란법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영세업체들부터 벼랑 끝에 몰리게 됐다. 김성철 굴비특품사업단 상무(45)는 “김영란법 시행이 굴비 업계의 도미노식 파산으로 이어져 자칫 지역 경제 자체가 뿌리 채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라고 말했다. 4~5년 전에 550여 곳에 달하던 굴비 관련 업체는 85곳이나 사라졌고, 종사자 수도 약 1000여 명에서 100명 가까이 줄었다. 업계에서는 김영란법 시행 이후 연간 매출액이 1500억 원 이상 가량 줄어 전체 사업장 30% 정도는 영업을 유지하기 힘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영광 법성포 = 유준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