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렉시트] 저소득·저교육층, 기득권층에 맞서 '탈퇴'…스코틀랜드만 예외
영국 국민투표에서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이끈 동력은 저소득, 저교육층이었습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24일(현지시간) 개표 결과를 토대로 브렉시트 찬반 성향과 해당 선거구가 지닌 인구구성의 주요 특질이 상관관계가 있는지 보는 도표를 내놓았습니다.
이는 출구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여론조사가 결과예측에 실패해 신빙성을 잃은 상황에서 투표 결과의 원인을 엿볼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됩니다.
투표 결과와 가장 뚜렷하게 상관관계를 보인 인구구성 특질은 소득, 교육, 주민의 출생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등교육을 받은 주민이 35% 이상이 있는 선거구의 주민은 거의 모두 잔류 성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고등교육을 받지 않은 주민이 35% 미만인 선거구에는 잔류보다 탈퇴 성향을 지닌 곳이 눈에 띄게 많았습니다.
잔류가 무려 75%에 육박한 런던의 금융가 '시티 오브 런던' 선거구는 고등교육 주민의 비율이 70% 육박했다. 이에 비해 고등교육 이수자 비율이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기록된 보스턴은 탈퇴 표가 75%를 차지했습니다.
가디언은 "잔류 표를 던질 지역의 확실한 특질은 대학학위를 지닌 주민의 비율"이라고까지 설명했습니다.
소득을 보면 연봉 중간값이 2만5천 파운드(약 4천만원)를 넘어서는 곳에서는 잔류 성향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그러나 탈퇴 성향을 보인 지역에서는 연봉 중앙값이 그보다 낮은 곳들에서는 탈퇴가 훨씬 많았습니다.
고소득자 비율이 전국 최고인 웨스트민스터는 잔류가 69%를 차지한 반면 비율이 가장 낮은 블랙풀은 탈퇴가 67.5%로 집계됐습니다.
소득, 교육과 함께 영국에서 태어나지 않은 주민이 많은 곳에서는 잔류 지지가,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탈퇴 지지가 많아지는 현상도 관측됐습니다.
영국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 소득, 교육, 이주와 브렉시트 성향의 상관관계는 정치적 이유로 잔류 성향이 두드러지는 스코틀랜드에서만 예외였습니다.
일단 이민자들이 많은 지역이 토박이가 많은 지역보다 잔류세가 두드러진 것은 난민사태로 인한 반이민 정서로 쉽게 풀이됩니다.
저교육, 저소득 지역에서 탈퇴 성향이 강했던 것도 이민자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기고 있다는 불만이 주민들 사이에서 확산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OECD에 따르면 영국에서 제조업 고용률은 세계화 추세와 함께 2000년 이후 3분의 1이나 떨어졌습니다.
저소득, 저교육층 노동자들은 그나마 줄어든 일자리에서 EU 회원국 출신 주민이나 대규모로 밀려드는 난민과 함께 경쟁해야 하는 처지에 몰린 셈입니다.
최근 유럽을 휩쓸고 있는 반세계화, 반엘리트, 빈부격차에 대한 불만 정서도 저소득층, 저교육층의 탈퇴 성향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됩니다.
유럽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소득수준 양극화와 기득권층에 대한 불신풍조가 커졌고 이번 국민투표 캠페인 과정에서도 그런 현상은 계속 감지됐습니다.
국제통화기구(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영국 중앙은행 등이 탈퇴의 악영향을 경고할수록 오히려 탈퇴 여론이 거세지는 현상이 여론조사로 확인됐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둘러싼 기득권층에 대한 불신이 2008년 수준에 접근하고 있다"고 캠페인 과정에서 지적한 바 있습니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는 "영국에서 10명 중 9명은 전문가들을 믿지 않는다"고 불만과 불신 풍조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영국 국민투표에서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를 이끈 동력은 저소득, 저교육층이었습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24일(현지시간) 개표 결과를 토대로 브렉시트 찬반 성향과 해당 선거구가 지닌 인구구성의 주요 특질이 상관관계가 있는지 보는 도표를 내놓았습니다.
이는 출구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여론조사가 결과예측에 실패해 신빙성을 잃은 상황에서 투표 결과의 원인을 엿볼 수 있는 도구로 평가됩니다.
투표 결과와 가장 뚜렷하게 상관관계를 보인 인구구성 특질은 소득, 교육, 주민의 출생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등교육을 받은 주민이 35% 이상이 있는 선거구의 주민은 거의 모두 잔류 성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고등교육을 받지 않은 주민이 35% 미만인 선거구에는 잔류보다 탈퇴 성향을 지닌 곳이 눈에 띄게 많았습니다.
잔류가 무려 75%에 육박한 런던의 금융가 '시티 오브 런던' 선거구는 고등교육 주민의 비율이 70% 육박했다. 이에 비해 고등교육 이수자 비율이 전국 최하위 수준으로 기록된 보스턴은 탈퇴 표가 75%를 차지했습니다.
가디언은 "잔류 표를 던질 지역의 확실한 특질은 대학학위를 지닌 주민의 비율"이라고까지 설명했습니다.
소득을 보면 연봉 중간값이 2만5천 파운드(약 4천만원)를 넘어서는 곳에서는 잔류 성향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그러나 탈퇴 성향을 보인 지역에서는 연봉 중앙값이 그보다 낮은 곳들에서는 탈퇴가 훨씬 많았습니다.
고소득자 비율이 전국 최고인 웨스트민스터는 잔류가 69%를 차지한 반면 비율이 가장 낮은 블랙풀은 탈퇴가 67.5%로 집계됐습니다.
소득, 교육과 함께 영국에서 태어나지 않은 주민이 많은 곳에서는 잔류 지지가,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탈퇴 지지가 많아지는 현상도 관측됐습니다.
영국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나타난 소득, 교육, 이주와 브렉시트 성향의 상관관계는 정치적 이유로 잔류 성향이 두드러지는 스코틀랜드에서만 예외였습니다.
일단 이민자들이 많은 지역이 토박이가 많은 지역보다 잔류세가 두드러진 것은 난민사태로 인한 반이민 정서로 쉽게 풀이됩니다.
저교육, 저소득 지역에서 탈퇴 성향이 강했던 것도 이민자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기고 있다는 불만이 주민들 사이에서 확산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OECD에 따르면 영국에서 제조업 고용률은 세계화 추세와 함께 2000년 이후 3분의 1이나 떨어졌습니다.
저소득, 저교육층 노동자들은 그나마 줄어든 일자리에서 EU 회원국 출신 주민이나 대규모로 밀려드는 난민과 함께 경쟁해야 하는 처지에 몰린 셈입니다.
최근 유럽을 휩쓸고 있는 반세계화, 반엘리트, 빈부격차에 대한 불만 정서도 저소득층, 저교육층의 탈퇴 성향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관측됩니다.
유럽에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소득수준 양극화와 기득권층에 대한 불신풍조가 커졌고 이번 국민투표 캠페인 과정에서도 그런 현상은 계속 감지됐습니다.
국제통화기구(IMF),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영국 중앙은행 등이 탈퇴의 악영향을 경고할수록 오히려 탈퇴 여론이 거세지는 현상이 여론조사로 확인됐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브렉시트 국민투표를 둘러싼 기득권층에 대한 불신이 2008년 수준에 접근하고 있다"고 캠페인 과정에서 지적한 바 있습니다.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는 "영국에서 10명 중 9명은 전문가들을 믿지 않는다"고 불만과 불신 풍조를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