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무부 "사드배치 논의는 북한 도발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시작된 것"
미국 국무부는 29일(현지시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는 별개 문제로 상호 관련성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존 커비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두 사안의 연관성을 묻는 말에 이같이 답변했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다시 한번 말하겠지만 '북한에 대한 더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미·중 양국 간의 대화 및 합의, 사드 한반도 배치시의 잠재적 효율성에 관한 한미 간의 협의 그 두 사안에는 어떤 연관성도 없다"고 단언했습니다.
이어 "그 (사드 배치) 논의는 북한의 잇단 도발의 결과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시작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아직 어떤 식으로 한다는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고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상태"라면서 "(존 케리) 국무장관이 지난주에 말했듯이 북한이 도발하지 않으면 사드 배치 논의도 필요 없을 텐데 불행하게도 북한은 다른 (반대의) 길을 선택했으며, 지속적으로 도발하고 한반도 불안정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때문에 사드 배치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특히 "(사드 배치가 결정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물리적으로 어떤 것에 대한 대가로 뭘 준다는 것은 있을 수 없으며, 생각해 본 적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중국의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동참을 끌어내는 대신 중국이 강력히 반대하는 사드 배치와 관련해 일정 부분 양보한 것 아니냐는 일각의 의혹을 일축하는 것인 동시에 사드 배치는 어디까지는 유엔의 대북제재와는 별개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와 관련,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앞서 지난 26일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사드는 외교적 협상칩(bargaining chip·협상카드)이 아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유엔 안보리 제재에 대해서는 "아직 채택되지도 않은 사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다만 케리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그동안 국제사회의 의무를 위반하고 도발을 지속하는 북한에 대해 다자적 차원에서 더 단호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고, 또 안보리 결의안에 북한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담겨야 한다는데 두 차례나 합의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미국 국무부는 29일(현지시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는 별개 문제로 상호 관련성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존 커비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두 사안의 연관성을 묻는 말에 이같이 답변했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다시 한번 말하겠지만 '북한에 대한 더 단호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미·중 양국 간의 대화 및 합의, 사드 한반도 배치시의 잠재적 효율성에 관한 한미 간의 협의 그 두 사안에는 어떤 연관성도 없다"고 단언했습니다.
이어 "그 (사드 배치) 논의는 북한의 잇단 도발의 결과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시작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아직 어떤 식으로 한다는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고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상태"라면서 "(존 케리) 국무장관이 지난주에 말했듯이 북한이 도발하지 않으면 사드 배치 논의도 필요 없을 텐데 불행하게도 북한은 다른 (반대의) 길을 선택했으며, 지속적으로 도발하고 한반도 불안정을 야기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 때문에 사드 배치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특히 "(사드 배치가 결정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물리적으로 어떤 것에 대한 대가로 뭘 준다는 것은 있을 수 없으며, 생각해 본 적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미국이 중국의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동참을 끌어내는 대신 중국이 강력히 반대하는 사드 배치와 관련해 일정 부분 양보한 것 아니냐는 일각의 의혹을 일축하는 것인 동시에 사드 배치는 어디까지는 유엔의 대북제재와는 별개 차원에서 검토하고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이와 관련, 대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는 앞서 지난 26일 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사드는 외교적 협상칩(bargaining chip·협상카드)이 아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커비 대변인은 유엔 안보리 제재에 대해서는 "아직 채택되지도 않은 사안에 대해 언급하지 않겠다"면서 다만 케리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그동안 국제사회의 의무를 위반하고 도발을 지속하는 북한에 대해 다자적 차원에서 더 단호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고, 또 안보리 결의안에 북한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적절한 수단이 담겨야 한다는데 두 차례나 합의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