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메달 순위 14위
2002년 솔트레이크 올림픽 순위와 같아
이기흥 체제 출범 후 한국스포츠 위상 추락
“한국 동계스포츠가 20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우리나라는 지난 4일 개막, 20일 폐막하는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 16일 현재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로, 메달 순위 14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동계올림픽 사상 최악이었던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14위와 같은 것이다. 20년 전 수준이다. 아직 대회 기간이 나흘 남아 메달 순위가 유동적이기는 하다. 하지만 메달 유망 종목인 쇼트트랙이 모두 끝나 한국의 순위 상승은 기대하기 어렵다. 오히려 15위권 이하 나라가 금메달을 추가하면 우리나라는 15위권 밖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더 크다. 어찌 됐든 동계올림픽 사상 최악의 성적표가 기다리고 있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지난 2016년 이기흥 대한체육회 체제가 출범한 이후 우리나라는 2018년 자카르타 ‧ 팔렘방 아시아 경기에서 일본에 종합 2위 자리를 내준데 이어 종합 10위를 목표했던 지난해 2020 도쿄올림픽에서도 16위에 머물렀다. 한국스포츠의 추락은 현재 진행형이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최민정 등 선전 불구 한국선수단 금메달 2개뿐
우리나라는 이번 대회에 6개 종목 124명의 선수 임원을 파견, 어려운 여건 아래에서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1호 금메달 황대헌(23‧강원도청)에 이어 16일 최민정(24‧성남시청)이 여자쇼트트랙 1500m에서 2호 금메달을 따 한국의 메달 순위를 14위까지 끌어 올렸다. 특히 4년 전 평창올림픽에 이어 2연패의 위업을 이룬 최민정은 앞서 열린 1000m와 3000m 계주에서도 은메달을 획득, 선수단 사기를 북돋는데 한몫했다. 여기에 남자 5000m 계주팀과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의 차민규(29‧의정부시청)도 은메달을 보탰다.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 23일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이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금메달 2개에 종합 15위의 베이징동계올림픽 목표는 거의 비슷하게 맞아떨어지는 모양새다. 하지만 이기흥 회장의 발표는 목표를 하향 조정함으로써 대회 후 쏟아질 수 있는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려는 ‘면피용’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한국, 1992년이후 8번 올림픽 중 6번 ‘톱-10’
우리나라 동계스포츠는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금2, 은2)의 종합 14위와 2014년 러시아 소치 올림픽(금3, 은3, 동2) 종합 13위를 제외하면 매번 종합 10위안에 들었다.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올림픽에서 처음 종합 10위에 오른 뒤 2010 캐나다 밴쿠버 올림픽에서는 종합 5위까지 오르는 등 1992년 이후 8번의 동계올림픽에서 6번이나 세계 ‘톱-10’을 기록했다.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는 금 5, 은 8, 동 4개로 일본(금4, 은5, 동4, 종합 11위), 중국(금1, 은6, 동2, 종합 16위)을 제치고 종합 7위(아시아 1위)를 차지했었다. 이번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는 중국, 일본에 이어 아시아 3위. <도표 참조>
우리나라는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과 2020 도쿄올림픽 등 하계대회에서도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부터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까지 8번의 아시안게임에서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만 빼고 7번 모두 일본을 제치고 중국에 이어 종합 2위에 오른 한국. 그러나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는 한국이 금 49, 은 58, 동 70개로 일본(금75, 은56, 동74)에 크게 뒤져 24년 만에 3위로 밀렸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8월 끝난 2020 도쿄올림픽에서도 종합 10위 이내 진입을 목표로 했으나 16위(금6, 은4, 동10)에 그쳤다. 개최국 일본은 미국, 중국에 이어 종합 3위(금27, 은14, 동17)에 올라 우리나라와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대한체육회의 가맹단체 지도 감독 소홀 결과”
이종세(용인대 객원교수·전 동아일보 체육부장)[ⓒ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02년 솔트레이크 올림픽 순위와 같아
이기흥 체제 출범 후 한국스포츠 위상 추락
“한국 동계스포츠가 20년 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 우리나라는 지난 4일 개막, 20일 폐막하는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 16일 현재 금메달 2개 은메달 4개 동메달 1개로, 메달 순위 14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동계올림픽 사상 최악이었던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14위와 같은 것이다. 20년 전 수준이다. 아직 대회 기간이 나흘 남아 메달 순위가 유동적이기는 하다. 하지만 메달 유망 종목인 쇼트트랙이 모두 끝나 한국의 순위 상승은 기대하기 어렵다. 오히려 15위권 이하 나라가 금메달을 추가하면 우리나라는 15위권 밖으로 밀려날 가능성이 더 크다. 어찌 됐든 동계올림픽 사상 최악의 성적표가 기다리고 있는 것만큼은 분명해 보인다. 지난 2016년 이기흥 대한체육회 체제가 출범한 이후 우리나라는 2018년 자카르타 ‧ 팔렘방 아시아 경기에서 일본에 종합 2위 자리를 내준데 이어 종합 10위를 목표했던 지난해 2020 도쿄올림픽에서도 16위에 머물렀다. 한국스포츠의 추락은 현재 진행형이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최민정 등 선전 불구 한국선수단 금메달 2개뿐
우리나라는 이번 대회에 6개 종목 124명의 선수 임원을 파견, 어려운 여건 아래에서도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1호 금메달 황대헌(23‧강원도청)에 이어 16일 최민정(24‧성남시청)이 여자쇼트트랙 1500m에서 2호 금메달을 따 한국의 메달 순위를 14위까지 끌어 올렸다. 특히 4년 전 평창올림픽에 이어 2연패의 위업을 이룬 최민정은 앞서 열린 1000m와 3000m 계주에서도 은메달을 획득, 선수단 사기를 북돋는데 한몫했다. 여기에 남자 5000m 계주팀과 스피드 스케이팅 남자 500m의 차민규(29‧의정부시청)도 은메달을 보탰다. 이에 따라 지난해 12월 23일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이 기자간담회에서 밝힌 금메달 2개에 종합 15위의 베이징동계올림픽 목표는 거의 비슷하게 맞아떨어지는 모양새다. 하지만 이기흥 회장의 발표는 목표를 하향 조정함으로써 대회 후 쏟아질 수 있는 성적 부진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려는 ‘면피용’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한국, 1992년이후 8번 올림픽 중 6번 ‘톱-10’
우리나라 동계스포츠는 2002년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올림픽(금2, 은2)의 종합 14위와 2014년 러시아 소치 올림픽(금3, 은3, 동2) 종합 13위를 제외하면 매번 종합 10위안에 들었다. 1992년 프랑스 알베르빌 올림픽에서 처음 종합 10위에 오른 뒤 2010 캐나다 밴쿠버 올림픽에서는 종합 5위까지 오르는 등 1992년 이후 8번의 동계올림픽에서 6번이나 세계 ‘톱-10’을 기록했다. 2018년 평창올림픽에서는 금 5, 은 8, 동 4개로 일본(금4, 은5, 동4, 종합 11위), 중국(금1, 은6, 동2, 종합 16위)을 제치고 종합 7위(아시아 1위)를 차지했었다. 이번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는 중국, 일본에 이어 아시아 3위. <도표 참조>
우리나라는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과 2020 도쿄올림픽 등 하계대회에서도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986년 서울아시안게임부터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까지 8번의 아시안게임에서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게임만 빼고 7번 모두 일본을 제치고 중국에 이어 종합 2위에 오른 한국. 그러나 2018년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는 한국이 금 49, 은 58, 동 70개로 일본(금75, 은56, 동74)에 크게 뒤져 24년 만에 3위로 밀렸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8월 끝난 2020 도쿄올림픽에서도 종합 10위 이내 진입을 목표로 했으나 16위(금6, 은4, 동10)에 그쳤다. 개최국 일본은 미국, 중국에 이어 종합 3위(금27, 은14, 동17)에 올라 우리나라와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
“대한체육회의 가맹단체 지도 감독 소홀 결과”
작년 12월23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대한체육회 출입기자단 간담회 모습. 이기흥 대한체육회 회장은 이 자리에서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에서 메달 순위 목표를 15위로 하향 설정해 발표했다. 사진=대한체육회 제공
이기흥 체육회장은 이번 동계올림픽의 메달 목표를 하향 설정한 것과 관련해 “선수단의 체질개선,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는 데 어려움이 컸고 코로나 팬데믹으로 제대로 훈련할 수 없었다. 빙상의 경우 (회장사 없이) 체육회 관리단체로 지정돼 지도부 공백을 겪는 등 문제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체육계는 “대한체육회가 안이한 행정으로 가맹 경기단체에 대한 지도 감독을 소홀히 한 결과다”며“대표선수 경험이 전혀 없는 비체육인이 체육회 수장을 맡아 아무래도 엘리트 체육의 상징인 국가대표팀의 전력 향상에 집중하지 못하는 경향이 짙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해 1월 제41대 대한체육회장에 당선, 재선에 성공한 이기흥 체육회장은 평소 잦은 지방 순회를 통해 회장 선거인단 관리에는 신경을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종세(용인대 객원교수·전 동아일보 체육부장)[ⓒ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