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강대호 기자] 한국의 2014 브라질월드컵 H조 3차전 상대는 벨기에였다. 전반을 0-0으로 마치며 선전했으나 후반 32분 상대 수비수 얀 베르통헨(27·토트넘 홋스퍼)에게 결승골을 내주며 0-1로 졌다.
한국은 전반 44분 벨기에 미드필더 스티븐 데푸르(26·FC 포르투)가 퇴장당해 수적인 우위를 점했다. 그러나 4-2-3-1 대형의 수비형 미드필더였던 데푸르가 빠졌음에도 수비형 미드필더 무사 뎀벨레(27·토트넘 홋스퍼)와 공격형 미드필더 마루앙 펠라이니(27·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구성된 벨기에의 중원은 한국이 넘기엔 벅찼다.
194cm의 펠라이니는 중앙 미드필더를 중심으로 수비형 미드필더와 공격형 미드필더까지 중원에서 모든 역할이 가능하다. 한국전에서 펠라이니는 티보 쿠르투아(22·첼시 FC) 골키퍼의 중장거리 패스를 받아 공격 전개를 시작하는 역할을 맡았다. 체격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쿠르투아의 패스를 안정적으로 받는 펠라이니를 한국은 제어하지 못했다.
이처럼 한국을 상대로 왜 맨유라는 명문팀에 속해있는지를 보여준 펠라이니지만 정작 소속팀 입지는 그리 좋지 못하다. 2013-14시즌 25경기 1골 4도움을 기록하면서 경기당 69분 소화에 그쳤다. 게다가 에버턴 FC 시절 은사 데이비드 모예스(51·스코틀랜드)가 물러나고 루이스 반 할(63·네덜란드)이 감독으로 부임하자 더 위축되는 분위기다.
통계회사 ‘옵타 스포츠’의 제휴사인 ‘스쿼카 풋볼’은 18일 ‘반 할의 맨유 혁명에 펠라이니의 자리는 없다’는 제목으로 ‘신생 맨유’에서 펠라이니의 가치가 왜 떨어지는지를 분석했다.
수비형 미드필더 위치에서는 너무 게으르고 위협적인 상황을 인지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해당 역할에 대한 수행능력이 어설프다는 지적을 받았다. 월드컵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한 16강~8강에서도 인상적이지 못했다. 역시 ‘옵타 스포츠’의 제휴사인 ‘후스코어드닷컴’의 2경기 전산평점에서도 펠라이니는 각각 6.8점과 6.3점으로 저조했다.
‘박스 투 박스’란 자기 진영의 페널티박스에서 상대 페널티박스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오가면서 공격과 수비에 폭넓게 관여하는 중앙 미드필더를 말한다. ‘스쿼카 풋볼’은 “박스 투 박스로 쓰기에는 기동력이 충분하지 않고 미드필더 2명을 놓는 전술에서 결함이 너무 많다”고 혹평했다. 수비형·중앙·공격형 미드필더가 모두 가능한 펠라이니는 ‘박스 투 박스’로 최적임자로 생각하기 쉬우나 194cm의 거구에서 오는 기동성 한계가 발목을 잡는 것이다.
‘미드필더 2명을 놓는 전술’이란 4-2-3-1 대형을 의미한다. 한국전에서 펠라이니는 2가 아닌 3의 중앙, 즉 공격형 미드필더로 선발 출전했다. 물론 데푸르의 퇴장 이후에는 어쩔 수 없이 4-4-1의 중앙 미드필더로 뛰었으나 ‘스쿼카 풋볼’의 지적처럼 펠라이니는 2명의 수비형/중앙 미드필더 중 하나이기보다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더 편한 모습을 보여준다.
2012-13시즌 에버턴에서 리그 전체의 주목을 받은 펠라이니가 주로 소화한 역할도 4-2-3-1의 공격형 미드필더다. 당시 펠라이니는 공격형 미드필더를 중심으로 중앙 미드필더와 처진 공격수 위치까지 오가면서 체격 우위를 활용한 공 점유 유지와 끊임없는 몸싸움을 수비에 강요하며 상대에 큰 부담을 줬다.
“축구 지능과 패스, 기술 모두 최고 수준의 플레이메이커로 보기 어렵다”는 ‘스쿼카 풋볼’의 지적은 ‘신체능력’ 활용이 가장 큰 무기인 펠라이니에게는 당연하면서도 장점을 외면한 억울할 수도 있는 평가다. 그러나 맨유 같은 명문강호일수록 정교함에 대한 요구치가 높은 것도 사실이다.
‘스쿼카 풋볼’은 마지막으로 “반 할은 뛰어난 선수가 더 필요하다. 그는 지독한 ‘시스템’ 신봉자”라는 이유를 들었다. 브라질월드컵에서 우승후보와는 거리가 멀었던 네덜란드대표팀을 3위로 이끈 반 할은 전술적인 역량을 마음껏 뽐냈으나 그의 구상을 이해하고 성실하게 수행한 선수단의 공도 잊어선 안 된다.
감독의 맞춤전술이 아무리 신묘해도 이를 실현하는 것은 선수다. 앞서 ‘축구 지능’의 부족함을 지적한 ‘스쿼카 풋볼’은 펠라이니가 과연 반 할의 유능한 장기 말이 될 수 있을지 의구심을 표했다.
[dogma01@maekyung.com]
한국은 전반 44분 벨기에 미드필더 스티븐 데푸르(26·FC 포르투)가 퇴장당해 수적인 우위를 점했다. 그러나 4-2-3-1 대형의 수비형 미드필더였던 데푸르가 빠졌음에도 수비형 미드필더 무사 뎀벨레(27·토트넘 홋스퍼)와 공격형 미드필더 마루앙 펠라이니(27·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 구성된 벨기에의 중원은 한국이 넘기엔 벅찼다.
194cm의 펠라이니는 중앙 미드필더를 중심으로 수비형 미드필더와 공격형 미드필더까지 중원에서 모든 역할이 가능하다. 한국전에서 펠라이니는 티보 쿠르투아(22·첼시 FC) 골키퍼의 중장거리 패스를 받아 공격 전개를 시작하는 역할을 맡았다. 체격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쿠르투아의 패스를 안정적으로 받는 펠라이니를 한국은 제어하지 못했다.
이처럼 한국을 상대로 왜 맨유라는 명문팀에 속해있는지를 보여준 펠라이니지만 정작 소속팀 입지는 그리 좋지 못하다. 2013-14시즌 25경기 1골 4도움을 기록하면서 경기당 69분 소화에 그쳤다. 게다가 에버턴 FC 시절 은사 데이비드 모예스(51·스코틀랜드)가 물러나고 루이스 반 할(63·네덜란드)이 감독으로 부임하자 더 위축되는 분위기다.
통계회사 ‘옵타 스포츠’의 제휴사인 ‘스쿼카 풋볼’은 18일 ‘반 할의 맨유 혁명에 펠라이니의 자리는 없다’는 제목으로 ‘신생 맨유’에서 펠라이니의 가치가 왜 떨어지는지를 분석했다.
수비형 미드필더 위치에서는 너무 게으르고 위협적인 상황을 인지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해당 역할에 대한 수행능력이 어설프다는 지적을 받았다. 월드컵에서 수비형 미드필더로 출전한 16강~8강에서도 인상적이지 못했다. 역시 ‘옵타 스포츠’의 제휴사인 ‘후스코어드닷컴’의 2경기 전산평점에서도 펠라이니는 각각 6.8점과 6.3점으로 저조했다.
‘박스 투 박스’란 자기 진영의 페널티박스에서 상대 페널티박스까지 광범위한 영역을 오가면서 공격과 수비에 폭넓게 관여하는 중앙 미드필더를 말한다. ‘스쿼카 풋볼’은 “박스 투 박스로 쓰기에는 기동력이 충분하지 않고 미드필더 2명을 놓는 전술에서 결함이 너무 많다”고 혹평했다. 수비형·중앙·공격형 미드필더가 모두 가능한 펠라이니는 ‘박스 투 박스’로 최적임자로 생각하기 쉬우나 194cm의 거구에서 오는 기동성 한계가 발목을 잡는 것이다.
‘미드필더 2명을 놓는 전술’이란 4-2-3-1 대형을 의미한다. 한국전에서 펠라이니는 2가 아닌 3의 중앙, 즉 공격형 미드필더로 선발 출전했다. 물론 데푸르의 퇴장 이후에는 어쩔 수 없이 4-4-1의 중앙 미드필더로 뛰었으나 ‘스쿼카 풋볼’의 지적처럼 펠라이니는 2명의 수비형/중앙 미드필더 중 하나이기보다는 공격형 미드필더로 더 편한 모습을 보여준다.
2012-13시즌 에버턴에서 리그 전체의 주목을 받은 펠라이니가 주로 소화한 역할도 4-2-3-1의 공격형 미드필더다. 당시 펠라이니는 공격형 미드필더를 중심으로 중앙 미드필더와 처진 공격수 위치까지 오가면서 체격 우위를 활용한 공 점유 유지와 끊임없는 몸싸움을 수비에 강요하며 상대에 큰 부담을 줬다.
“축구 지능과 패스, 기술 모두 최고 수준의 플레이메이커로 보기 어렵다”는 ‘스쿼카 풋볼’의 지적은 ‘신체능력’ 활용이 가장 큰 무기인 펠라이니에게는 당연하면서도 장점을 외면한 억울할 수도 있는 평가다. 그러나 맨유 같은 명문강호일수록 정교함에 대한 요구치가 높은 것도 사실이다.
‘스쿼카 풋볼’은 마지막으로 “반 할은 뛰어난 선수가 더 필요하다. 그는 지독한 ‘시스템’ 신봉자”라는 이유를 들었다. 브라질월드컵에서 우승후보와는 거리가 멀었던 네덜란드대표팀을 3위로 이끈 반 할은 전술적인 역량을 마음껏 뽐냈으나 그의 구상을 이해하고 성실하게 수행한 선수단의 공도 잊어선 안 된다.
감독의 맞춤전술이 아무리 신묘해도 이를 실현하는 것은 선수다. 앞서 ‘축구 지능’의 부족함을 지적한 ‘스쿼카 풋볼’은 펠라이니가 과연 반 할의 유능한 장기 말이 될 수 있을지 의구심을 표했다.
[dogma01@maekyung.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