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 56% "나도 목숨 끊을 생각"…99%가 심리·행동 변화 겪어
복지부·생명존중희망재단, 최근 9년간 자살 사망자 심리부검
복지부·생명존중희망재단, 최근 9년간 자살 사망자 심리부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람의 97%는 자살 전 위험신호를 보인 것으로 드러났지만 주변에서 이를 감지한 비율은 24%에 그쳤습니다.
극단적 선택으로 가족을 잃은 거의 모든 유족은 이후 심리·행동에 변화를 겪었고, 절반 이상이 스스로 목숨을 끊을 생각까지 했습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은 '2015∼2023년 자살 심리부검 면담 분석 결과'를 오늘(27일) 공개했습니다.
심리부검이란 자살 사망자의 가족 또는 지인의 진술과 고인의 기록을 검토해 자살 사망자의 심리·행동 양상과 변화를 확인해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조사 방법입니다.
이번 조사에서는 유족 1천262명으로부터 얻은 자살 사망자 1천99명에 대한 심리부검 면담 자료를 분석했습니다.
자살 사망 전 행동·심경 변화. /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 자살 사망자 97%, 신호 보냈다…평균 연령 44.2세
자살 사망자의 64.7%는 남성이었는데, 사망 당시 평균 연령은 44.2세였고, 이들 중 1인 가구는 19.2%였습니다.
자살 사망자의 86%가량이 정신질환을 겪은 것으로 추정됐으며 주로 우울(74.5%), 중독(27.2%), 불안(8.8%) 등이 있었습니다.
고용 형태로 보면 피고용인이 38.6%로 가장 많았고, 소득 수준은 월 100만 원 미만인 저소득층(46.5%)이 절반 가까이 차지했습니다.
자살 사망자의 96.6%는 사망 전에 자살을 암시하는 행동·심경 변화를 보였으나 이를 주변에서 인지한 비율은 23.8%에 불과했습니다.
주요 자살 경고 신호로는 감정 변화(75.4%), 수면상태 변화(71.7%), 자살·죽음에 대한 잦은 언급(63.6%), 자기비하적 발언(47.0%), 주변 정리(25.8%) 등이 있었습니다.
이형훈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올해 7월부터 의무화된 자살 예방 교육에 자살 위험 경고 신호를 파악하는 방법이 포함돼 있다"며 "자살 고위험군이 보내는 경고 신호에 대한 가족·친구·동료 등 주변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자살 사망 전 스트레스 사건 유무. /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 자살 사망자 평균 4.3개 스트레스 사건…1인 가구 청년 사망률 44%
부검 결과 사망자는 평균 4.3개 스트레스 사건을 다중적으로 경험했습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장년기 사망자(35∼49세, 356명)는 직장 동료와의 관계 문제, 사업 부진·실패, 부채 등으로 힘들어했습니다.
그다음으로 사망자가 많은 34세 이하 청년기(344명)는 실업자 비율과 구직 등 직업 스트레스 경험 사례가 비교적 많았습니다.
1인 가구의 자살 사망자 가운데 청년기 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이 43.8%로, 다인 가구 자살 사망에서 청년기가 차지하는 비율(28.0%)보다 높았습니다.
다인 가구 사망자는 가족(52.1%)이 사망자를 최초 발견한 비율이 절반 이상이었지만, 1인 가구 사망자는 가족 25.6%, 경찰·소방 25.1%, 지인 24.6% 등 최초 발견자가 엇비슷하게 분산됐습니다.
1인 가구 사망자의 비정규직 비율(43.7%)은 다인 가구(29.7%)를 크게 웃돌았고, 지속적 빈곤에 따른 스트레스 비율(15.3%) 역시 다인 가구(8.7%)보다 높았습니다.
사별 후 변화 유무. / 사진=보건복지부 제공
◇ 유족 56% "자살 떠올렸다"…73% "주변에 자살 사망 숨겨"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의 98.9%는 사별 후 심리·행동(97.6%), 대인 관계(62.9%), 신체 건강(56.5%), 가족 관계(52.2%) 등에서 변화를 겪었습니다.
자살을 떠올리는 '자살 사고'는 56.3%가 경험했고, 심한 우울(20.0%), 심각한 불면증(33.1%) 등 다른 정신 건강 관련 문제도 겪었습니다.
또 유족의 72.7%는 고인의 자살 사망 사실을 주변에 알리지 못했다. 소식을 들을 상대방이 받을 충격에 대한 우려와 자살에 관한 부정적 편견 등 때문이었습니다.
[조수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uyeonjomail@naver.com]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