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늘(8일)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회계 부정 의혹 등 각종 논란과 관련해 시민단체를 향한 무거운 경고를 담은 첫 메시지를 발신했습니다.
정의연 사태가 불거진 이후 한 달 동안 침묵해온 문 대통령이 입을 연 것은 더는 혼란을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의기억연대 마포 쉼터 소장 A 씨가 숨지면서 사태가 확산하고 있는 점도 외면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입니다.
문 대통령은 일단 정의연 논란을 '시민단체의 행태를 되돌아볼 계기'로 규정했습니다.
그러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투명 관리, 시민단체 기부금 및 후원금 모금활동의 투명성 강화를 강조했습니다.
정의연 사태가 이처럼 커지기까지 시민단체의 책임이 크다는 점을 명확히 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시민단체를 일종의 성역으로 대하면서 정의연과 윤미향 의원에 대한 비판을 "친일세력의 발악"이라고 하는가 하면 이용수 할머니의 고발이 2012년 민주당 비례대표 공천 탈락 탓이라는 여권 일각의 시각과 큰 차이가 있습니다.
문 대통령의 이번 메시지는 위안부 운동이 더 타격을 입어선 안된다는 위기감의 발로로 보입니다.
정의연 사태 와중에 위안부 운동의 상징인 이용수 할머니가 사실상 '2차 가해'를 당하고 운동의 역사가 송두리째 부정당하는 상황에 고민이 컸던 것입니다.
실제로 이 할머니의 폭로 이후 정치권과 사회 일부에선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비하하고 위안부 운동의 진정성을 훼손하는 발언들이 이어졌습니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이런 불순한 움직임에 제동을 걸지 않으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단일 대오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을 의식했을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윤 의원과 정의연을 끝내 거명하지 않은 채 이 할머니를 '위안부 운동의 역사'로 표현하며 한없는 존경심을 나타냈습니다.
이에 문 대통령의 진심이 진영논리에 기반한 '윤미향 감싸기'가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란 반응이 나옵니다.
청와대 관계자도 "윤 의원을 향한 공세가 부당하다는 뜻이 있거나 그런 의도가 담긴 것은 아니다"라며 "윤 의원과 정의연에 거리를 두면서 중립적으로 메시지를 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문 대통령은 "피해자들의 상처는 온전히 치유되지 못했고 진정한 사과와 화해에 이르지 못했다"며 '피해자 중심의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이라는 원칙을 재확인하기도 했습니다.
피해자가 배제된 정치적·외교적 합의를 지양하고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를 받아내겠다는 의지를 다시금 강조한 셈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기사에 대해 의견을 남겨주세요.